퍼포먼스 마케터 로 일을 잘하고 싶은 신입, 업계에 이름을 남기고 싶은 신입 등 열정적인 신입은 가끔 이런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지금 내가 일을 잘 하고 있는 것인가?’ 저는 앞서 말한 모든 예시에 속하는 열정적인 신입으로서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데이터 개요와 글의 목적이 자세히 궁금하신 분은 아랫글을 먼저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이 글은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 쓴 글입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아직 1, 2, 3편을 읽지 않으셨다고요? 이 글은 4편입니다! 아래 Intro와 #1주요 업무, #2 자격 요건 편을 읽어보세요!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Intro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1주요 업무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2자격 요건

펭수, 펭수짤, 펭하,

 


 

RAW DATA 가공

1편, 2편에 이어 3편까지 데이터를 분류해보니 이제서야 분류의 기준이 잡히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 편이긴 하지만 이번 편에는 조금 더 정제된 분류 기법을 적용했습니다. #2 자격 요건 편에서 적용했던 취업 컨설팅을 제공하는 HR 전문 기업 잡이룸에서 제공하는 역량 분류 체계는 여전히 참고했습니다. 그렇지만 이번에는 분류 기준이 조금 더 좁혀진 것에 따라 복수 태그보다는 단일 태그가 많아져서 전체 태그 수가 줄어들었습니다.

채용 공고, 잡이룸
http://www.joberum.com/plan/dic/ability01.asp?pc=1

 


 

| SUMMARY

총 50개의 채용 공고 중 193개의 우대사항이 수집되었습니다. 기업당 평균 3.86개를 작성했으며, 이는 주요 업무(총 221개, 평균 4.4개), 자격 요건(총 227개, 평균 4.54개)보다 적은 수치입니다. 중복을 제거하고 난 후 180개가 남았습니다. 중복을 제거한 기준은 앞의 글들과 마찬가지로 텍스트가 90% 이상 일치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번에는 특정 회사를 타겟팅하여도 회사명만 지웠을 뿐 삭제하지 않았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터가 가져야 할 ‘필수’ 조건이 아니라 ‘권장’ 조건이기 때문입니다.

 

1) 전체 우대 사항

우대 사항, 퍼포먼스 마케터, 퍼포먼스 마케팅, 구글 애널리틱스, 노션, notion

  • 채용 공고 : 50개
  • 전체 수집 : 193개
  • 중복 제거 : 180개
  • 평균 : 3.86개

 

2) 주요 키워드

퍼포먼스 마케터, 퍼포먼스 마케팅, 페이스북, 구글 애널리틱스, 노션

  • 키워드 수 : 18개
  • 전체 키워드 수 : 242개

 


 

| 공통기본

경험(52), 도구(41), 산업(26), 업무(21), 대행사(11), 이해도(9), 디자인(7), 콘텐츠(5)

퍼포먼스 마케팅, 퍼포먼스 마케터, 페이스북, 구글 애널리틱스, 노션

 

1) 경험(52)

경험은 어디를 가나 빠지지 않습니다. 아주 중요하기 때문이죠. 우대 사항 편에서는 ‘경험’이 단일 태그로 사용되지 않고 복합 태그로 사용되었습니다. 글로벌, 도구, 업무, 분석 딱 4가지에서요. 해당 4개의 경험은 자격 조건이나 주요 업무와 같이 퍼포먼스 마케팅 경험에 관해 묻는 내용입니다. 각 태그는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하죠.

 

2) 도구(41)

파이리, 리자드, 리자몽, 전직, 진화, 포켓몬, 포켓몬스터

자격 요건이나 우대사항과 다른 점은 일반적인 마케터의 영역이 아니라 개발자의 영역까지 걸쳐 있는 파이썬(Python), SQL, R 등과, 일반적으로 접할 수 없는 앱스플라이어(Apps flyer), 3rd party tool 등을 언급했다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우대 사항이니만큼 마케터의 영역에서 상위 기술이라고 생각하는 SQL, Python, R을 할 줄 아는 게 가산점을 받기에 도움이 됩니다. 마케터가 1차 전직이라면 SQL을 할 줄 아는 마케터는 2차 전직쯤? 데이터 애널리틱스의 저 어디쯤 전직 퀘스트를 수행 중일지도.

 

SQL의 정의

SQL(/ˈɛs kjuː ˈɛl/,[1] or /ˈsiːkwəl/, Structured Query Language[2][3][4][5], 구조화 질의어, S-Q-L[6])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자료의 검색과 관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과 수정, 데이터베이스 객체 접근 조정 관리를 위해 고안되었다. 많은 수의 데이터베이스 관련 프로그램들이 SQL을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다.

출처 : 위키백과

 

제가 알기로 마케터에게 SQL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개발 언어입니다. 단순히 물리적 제품을 ‘판매’하는 마케터는 페이스북, GA 정도만 다룰 줄 알면 되지만, 소프트웨어 내에서 사용자들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케팅을 해야 한다면 필요한 기술입니다. 마켓컬리나 쿠팡처럼 자사 플랫폼 내에서 물리적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는 SQL이 필요합니다. 본인이 지원하는 산업이 어떤 산업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산업(26)

뷰티, 이커머스, B2B, 스타트업 등 회사가 속한 산업에 대한 경험입니다. 업계, 산업에 대한 배경지식은 책이나 인터넷을 통한 지식보다는 경험이 필요하고, 그 업계에서 오랫동안 종사해야 알 수 있는 흐름, 인사이트, 네트워킹 등이 있어서 산업에 대한 경험도 많이 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산업의 특성을 몸으로 체감하여 마케팅에 적용하는 것, 관련 종사자들과 네트워킹을 가지고 있는 것은 큰 무기가 될 수 있으니까요.

 

4) 업무(21)

여기에서 업무는 각종 캠페인, 데이터 분석, 최적화 경험입니다. 진짜 퍼포먼스 마케팅을 해본 사람, 캠페인 운영, 최적화 등을 실무로 접해본 사람을 말합니다.

 

5) 대행사(11)

대행사 분들은 아무래도 한 가지 분야에 대해 미친 듯이 파며, 시간과 노력을 아끼지 않아 실력이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게다가 대행사 분들은 젊음까지 갈아 넣는 분들이 한둘이 아니라는.. 존경합니다. 대행사 출신분들이 인하우스로 오면 그렇게 세상 좋아졌다고들 하시더군요. 스타트업은 인하우스라도 다를 수 있습니다! (아마두)

 

6) 이해도(9)

서비스, 마케팅, 각종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말합니다. 업무 지식,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입니다.

 

7) 디자인(7)

포토샵, 일러스트, 영상에 관한 내용도 디자인으로 포함했습니다. 이런 항목들이 우대 사항이라고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팅도 할 줄 아는데 디자인까지 할 줄 알면, 디자이너가 만들어준 콘텐츠에 실수가 있거나, 급하게 수정해야 할 정보 등을 고칠 수 있으니까요.

 

8) 콘텐츠(5)

콘텐츠 또한 퍼포먼스 마케터를 채용할 때 우대 사항 중 하나입니다. 데이터를 분석해서 콘텐츠를 가지고 마케팅을 진행하는데 콘텐츠를 만드는 감각이 있다면 직접 만들어서 바로 집행할 수 있으니까요. 물론 사람은 한 명이기 때문에 시간은 두 배가 든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퇴근 바이, 야근 하이)

 


 

| 대인관계

소통(5), 협업(4), 리더(3)

퍼포먼스 마케터, 퍼포먼스 마케팅, 구글 애널리틱스, 페이스북, 노션

 

1) 소통(5)

팀원 간의 소통 중요합니다. 우대 사항이 아니라 필수 조건이라고 생각합니다. 업무는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그렇지만 혼자 분석하고 콘텐츠 제작하고, 보고하고 다 할 줄 안다면, 실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대표님이 계신다면, 소통 능력은 우대 사항이 될 수도 있습니다.

 

2) 협업(4)

소통과 마찬가지로, 디자인, 콘텐츠, 분석, 다 할 수 있는 능력자라면 없어도 될 것 같지만 1인 기업도 최소 클라이언트와 협업하는 능력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3) 리더(3)

팀장님은 아마 이 글을 안 보실 텐데..

 


 

| 성과관리

업무처리(7), 문서(5)

 

1) 업무처리(7)

문제 해결력, 꼼꼼함, 업무 속도 등 업무 처리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어떤 직업이든 업무 처리를 잘하면 누구든 데려가기 때문에 굶어 죽지는 않습니다.

 

2) 문서(5)

MS Office, 엑셀, 한글 등 문서 도구 사용 능력을 말합니다.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함일 것 같습니다.

 


 

| 사업수행

글로벌(13)

퍼포먼스 마케터, 퍼포먼스 마케팅, 구글 애널리틱스, 페이스북, 노션

 

1) 글로벌(13)

주요 업무나 자격 요건과는 달리 우대 사항에는 글로벌에 관한 항목이 많았습니다. 주요 업무에는 아예 없고, 자격 조건에는 영어에 대해 4회 언급되었으나, 우대 사항에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를 포함해 글로벌에 관련 내용이 13회 언급되었습니다. 횟수가 많은 걸 보니 역시 영어를 할 줄 알면 기회가 많다는 생각이 또 드네요.

 


 

| 자기기반

분석(20), 능동적/주도적(9), 교육(2), 기타(2)

퍼포먼스 마케팅, 퍼포먼스 마케터, 구글 애널리틱스, 페이스북, 노션

 

1) 분석(20)

빠지지 않는 분석! 데이터 분석, 분석 도구 사용 경험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자격 요건, 주요 업무로 나타나도 어색하지 않을 항목들입니다.

 

2) 능동적/주도적(9)

자격 요건에서부터 빠지지 않는 항목입니다. 직무에 관계없이 중요한 태도 중 하나입니다.

 

3) 교육(2)

관련 학과 전공자와 퍼포먼스 마케팅 관련 교육 수료한 사람을 말합니다. 신입으로서는 경험하기 쉽지 않은 분야이니만큼 교육에 집중을 해야 하는데 해당 부분을 잘 건드려준 것 같습니다.

 

4) 기타(2)

기타가 가장 ‘우대 사항’ 같은 우대 사항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바로 반려동물을 키우거나 관심 있는 사람과 비흡연자입니다. 반려동물에 관한 마케팅을 진행하면서 집사나 XX 맘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마케팅도 쉽지 않겠죠. 아무리 데이터를 보고 얘기한다 해도 말이에요. 비흡연자의 경우는 역시 같은 팀에 흡연자가 없기 때문이 아닐까요? 비흡연자는 흡연자가 흡연하러 갈 때 커피타임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느낀점

펭수,펭짤,펭수짤,털썩

1) 주요 업무, 자격 조건, 우대 사항의 정의

저의 기준에서 가장 먼저 느낀 것은 우대 사항을 주요 업무나 자격 요건과 겹치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물론 채용 공고 내에서는 서로 다른 글자들과 의미들이 있지만 지금 제가 채용 공고들을 분석한 것처럼 모아서 보면 제 기준에서 자격 요건에 들어갈 내용이 우대 사항에 많이 들어있었죠. 제 기준에서 ‘우대 사항’이란 말은 자격 요건을 갖추고 난 뒤 ‘이런 사항도 갖추고 있다면 가산점을 주겠다’인데, 퍼포먼스 마케터가 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우대 사항에서 볼 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우대 사항의 항목을 예로 들자면 회사에서는 아직 실행하고 있지 않으나 이분을 모시면 실행하고 싶은 SQL, Python을 이용한 데이터 마케팅, 업계/산업 등의 전반적인 이해, 디자인 실력, 영상 편집 능력, 통계학 관련 학위 등 퍼포먼스 마케팅 또는 마케팅, 업계나 산업과 관련이 있는 능력들을 작성했다면 조금 더 완벽한 우대 사항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각 카테고리 별로만 분류해서 보았기 때문에 회사의 상황을 알 수 없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2) 우대 사항도 필수 조건?

회사 상황을 모르지만, 우대 사항에 적힌 항목이 제가 생각했을 때는 퍼포먼스 마케터의 자격 요건이지만 회사의 ‘우대 사항’이라면 저는 세 가지 생각이 들었습니다. 첫 번째, 전임자가 퍼포먼스 마케터의 기본 자질을 갖추지 못했을 경우, 두 번째, 우대 사항 전체가 입사 필수 조건인 경우. 세 번째 채용 공고를 작성한 사람이 퍼포먼스 마케팅에 대해 상세히 모를 경우.

첫 번째는 전임자가 데이터 분석 및 채널 운영 일련의 과정을 해내지 못하여 퍼포먼스 마케터가 마땅히 해야 할 업무를 ‘우대 사항’으로 내건 조건이죠. 전적으로 전임자의 잘못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전임자가 신입일 수도 있고, 아무것도 모르는 콘텐츠 마케터인데 그냥 업무를 떠맡았을 수도 있으니까요. 나쁜 상황이라기보다는 어쩔 수 없는 회사의 상황일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회사에서 내건 자격 요건을 포함해 우대 사항까지 모든 항목을 충족시켜야 채용할 경우입니다. 마케터로서의 상위 기술들이 들어가면 어렵지만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분, 엑셀을 잘 다루시는 분, 긍정적이고 주도적으로 업무를 진행하시는 분, 팀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신 분’이라는 4개의 조건이라면 우대 사항도 자격 요건과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합니다.

세 번째는 채용 공고를 작성한 사람이 퍼포먼스 마케팅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입니다. HR을 전문으로 한 인사팀이 없을 수도 있고, 퍼포먼스 마케팅에 대해 잘 모르지만, 마케팅을 해야 하긴 해야겠기에 대표님, 총무팀 등이 자기 상식선에서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른 회사의 채용 공고를 통해 어떤 퍼포먼스 마케터를 뽑아야 하는지 보면 이런 우대 사항을 작성할 수 없지 않나?’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제가 분석한 채용 공고의 우대 사항들을 보면 크게 다를 바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채용 공고를 작성한 사람의 잘못이 아니라 아직 ‘퍼포먼스 마케팅’에 대한 이론이나 지식 자체가 확립되지 않아서 이런 경우가 발생했다고 생각합니다.

 


 

| 목차

  1.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Intro
  2.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1주요 업무
  3.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2자격 요건
  4.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3 우대 사항(지금 이 글)
Author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