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노션사용법

Browsing

🎁 이번에 배울 내용

1편 나만의 디지털 도서관 만들기에 이어 노션에서 독서 기록 관리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노션에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서 카테고리별로 도서를 분류하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도서 이미지 등 독서 기록을 손쉽게 저장하는 Save to Notion에 대해 배웁니다.

나만의 디지털 도서관 만들기 템플릿 보러가기

😉 지난 라이브 피드백 반영!

– 초보자들을 위해 아주 천천히 할 예정이니, 초보자 분들도 부담없이 참여 바랍니다.

– 강의 시간을 오후 7시에서 8시로 변경했습니다! (직장인 배려)

– 신청 오류 시 연락 수단 추가! 라이브 링크는 신청 직후 입력하신 이메일로 받게 됩니다. 30분 내에 이메일을 찾을 수 없다면 https://sijin.channel.io 로 연락주세요!

💰 참가비

참가비는 지난 번과 마찬가지로 시리얼 유튜브 구독, 좋아요, 댓글, 알림설정+적극적인 채팅입니다.

피드백을 반영하여 신청하실 때 본인의 선택으로 참가비를 주실수도 있습니다. 😉 $0 ~ $20

🎥 다시보기

지난 라이브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본인의 시간을 내서 라이브에 참여하시는 분들과 차별을 두기 위해 라이브는 참여 못하지만 다시보기만 보고 싶으신 분들은 별도로 비용을 지불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20 ~ $40

다시보기를 구매하신 분들에게는 강의에 사용된 자료 + 완성된 템플릿이 함께 제공됩니다.

다시보기는 라이브 종료 후 24시간 내에 이메일로 링크를 전달해드립니다.

💌 신청 방법!

1. 아래 링크로 들어와 ‘Name a fair price’에 $0 ~ $20 중 원하는 참가비를 입력하고 ‘I want this!’를 클릭합니다.

2. 성함과 이메일을 남겨주시면 입력해주신 이메일로 유튜브 라이브 링크가 전달됩니다.

3. 당일에 들어와주시면 됩니다!

📖 내용

– 노션 DB를 활용해 독서 노트 만들기

– Save to Notion을 이용해 도서 손쉽게 수집하기

– 노션 관계형 DB, 링크된 DB를 통해 도서 분류하기

– 롤업을 이용해 카테고리별 독서 통계 만들기

🤓 대상

– 노션으로 독서 노트를 만들고 싶은 분

– 노션의 데이터베이스를 제대로 활용하고 싶은 분

– 그 외 시리얼을 보고 싶은 분

📌 개요

– 신청 : sijin.gumroad.com/l/sireal-youtube-220801

– 일시 : 2022년 8월 1일 20:00-22:00(2시간)

– 참가비 : 시리얼 유튜브 구독, 좋아요, 댓글, 알림설정 ($0 ~ $20)

📍 안내 사항

✅ 천천히 진행할 것을 에상해 이번엔 넉넉하게 2시간으로 잡았습니다. 시간이 남으면 조기 종료 될 수 있습니다.

✅ 저녁 시간 넉넉히 비우고 들어와주시기 바랍니다.

✅ 강의 자료는 라이브 당일 전달됩니다. 다시보기를 구매하신 분들께는 함께 제공됩니다.

✅ 실습형 라이브입니다. 듀얼 모니터 준비를 추천드립니다.

✅ 모바일, 태블릿은 실습을 원활히 참여하실 수 없으니, PC/Mac으로 참여를 추천드립니다.

✅ 유튜브 라이브로 진행하기 떄문에 인터넷 환경이 원활한 곳에서 참여 부탁드립니다.

✅ 강의를 표방한 라이브 방송입니다. 좋아요와 적극적인 채팅을 보내주세요.

✅ 라이브 종료 후 적극적인 SNS 홍보와 메일로 발송되는 강의 후기 작성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생산성 컨설턴트 전시진입니다.

조직의 업무 효율 향상을 돕기 위해 강의, 컨설팅,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습니다.조직의 업무 방식을 파악한 다음 노션, 구글 앱스 등 생산성 도구를 도입하여 업무 방식을 개선하고 효율을 높이는 일입니다.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홈페이지

Sireal
Blog | Book | Brunch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최근 노션 에서 사소하지만 유용한 기능 업데이트 가 여러 개 있어 공유드립니다.

 

1. DB 내 롤업 클릭

이제는 노션 데이터베이스의 롤업으로 다른 데이터를 불러와도 클릭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메일, 전화번호, URL의 데이터를 롤업으로 불러와보세요. 수식 속성을 따로 추가하지 않아도 클릭할 수 있습니다.

노션 데이터베이스 롤업 클릭 가능

 

2. DB 내 보기 방식 검색

노션 데이터베이스 내 보기 방식을 검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나의 DB에서 보기 리스트가 화면을 넘어갈 만큼 많은 보기 방식을 사용하신다면 유용할 것 같습니다.

노션 데이터베이스 내 보기 방식 검색

 

3. 페이지 최상단으로 올라가는 버튼

이제는 최상단으로 올라가는 버튼을 따로 만들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어떤 위치를 보고 있든 이동 경로(네비게이터)에서 현재 페이지 이름을 클릭하면 페이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페이지 최상단으로 올라가는 버튼

 

4. 간단한 표에서 셀에 색깔 넣기

간단한 표를 만들어 열과 행에 배경색을 넣을 수 있습니다. 행 또는 열의 메뉴 버튼을 클릭하고 ‘색’을 눌러보세요. 회색부터 빨간색까지 모두 배경색을 넣을 수 있습니다.

※ 아쉽게도 셀 한 칸에만 색을 넣을 수는 없습니다.

간단한 표에서 셀에 색깔 넣기

[Notion] 노션 간단한 표 업데이트

 

5. iPad에서 블록을 이동시키고 단 나누기

아이패드를 사용하는 분들에게 희소식입니다. 이제 아이패드에서 블록을 꾹 눌러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보세요. 아이패드에서 단 나누기가 가능해집니다.

노션 아이패드 단 나누기

 

단 나누기가 무엇인지 궁금하시다면 아래 영상을 살펴보세요.

 

6. 체크박스 크기 줄이기

데이터베이스 내 체크박스 크기가 최소 단위로 줄어들었습니다. 지금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체크박스 크기를 줄여보세요.

노션 인스타그램 Zapier 재피어로 연동하기 노션 API 활용

목차

1. Zapier에서 인스타그램, Notion 로그인하기

2. 노션 API 사용 시작하기

3. 노션 DB 만들기

4. Zapier에서 노션 DB 연결하기

5. 인스타그램 포스팅 확인하기

6. 노션 DB 꾸며주기


20대 중반 ~ 40대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SNS는 인스타그램입니다. 일반 사람들은 일상생활을 기록하지만, 기업은 마케팅 수단으로도 많이 활용하죠. 기업에서 인스타그램을 관리할 때는 계정에 올라가는 포스팅을 더욱 철저하게 관리합니다. SNS 채널에 올라가는 포스트 하나하나가 기업의 브랜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데요. 노션을 이용하는 기업이라면 인스타그램 포스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노션을 사용하는 기업들도 있을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노션으로 인스타그램 포스팅을 관리하는 기업들을 위해 노션 API를 이용해 인스타그램에 포스팅하면 자동으로 노션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Zapier에서 인스타그램, Notion 로그인하기

인스타그램과 노션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노션 API가 필요하며, 이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코딩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글을 읽으시는 대부분의 사람은 코딩 지식이 없는 비 개발자들이 실 거라 믿기 때문에(제가 비 개발자라) 코딩 없이 연동하는 방법을 알려드릴 겁니다.

코딩 없이 노션 API를 활용하려면 Zapier(재피어)라는 서비스를 이용해야 합니다. Zapier는 코딩없이 서비스와 서비스를 연결해 자동으로 데이터를 보내주는 자동화 환경을 만들어주는 서비스입니다. 외국에서 만들었기 때문에 간단한 영어만 할 줄 알면 무궁무진한 방법을 이용해 많은 업무를 자동화시킬 수 있습니다.

Zapier라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Zapier의 홈페이지에 먼저 들어와 주세요. 회원가입이 안 되어 있으시다면 오른쪽 상단에 ‘Sign up’이라는 버튼을 누르고 가입을 해주시면 됩니다. 처음 가입하신다면 노션 계정과 같은 구글 계정으로 가입하시는 걸 추천해 드립니다. 가입한 후 다시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해주시기 바랍니다.

zapier, homepage

 

Zapier에 가입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혹시 화면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왼쪽에서 Dashboard라는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이 화면에서 우리는 인스타그램과 노션을 연결해줄 Zap이라는 걸 만들어줄겁니다.

  1. 먼저, 인스타그램을 연결하기 위해 Connect this app 아래에 있는 칸을 눌러 ‘Instagram’을 검색한 후 클릭하여 인스타그램으로 체크해줍니다.
  2. 인스타그램의 데이터를 노션으로 보내기 위해 with this one! 아래에 있는 칸을 눌러 ‘Notion’을 검색한 후 클릭하면 바로 아래에 새로운 줄이 생깁니다.
  3. 인스타그램 내에서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데이터를 보낼거냐를 선택하기 위해 When this happens… 아래의 칸을 눌러 ‘New Media Posted in My Account‘를 선택합니다.
  4. 노션에 어떤 형태로 데이터를 보낼거냐를 선택하기 위해 then do this! 아래의 칸을 눌러 ‘Create Database Item‘을 선택해줍니다.
  5. 마지막으로 then do this! 아래에 있는 Try It 이라는 버튼을 눌러줍니다.

Zapier, dashboard, instagram, notion

 

그러면 인스타그램을 노션과 연결하고 Zap을 만든 후 Zap을 켜면 된다라는 모양의 화면이 나타나는데 무시하고 ‘Get started’ 버튼을 눌러줍니다.instagram -> zapier, notion

 

인스타그램 계정 연동을 위해 아래 이미지에서 Connect 버튼을 눌러줍니다.

instagram, notion, zapier

포스팅할 인스타그램 계정 정보를 넣고 로그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인스타그램 로그인

Zapier 서비스의 사용을 위해 공유 권한의 허용을 눌러줍니다.

인스타그램 재피어 승인 요청

 

본인의 계정이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노션 계정을 연결하기 위해 Next 버튼을 눌러줍니다.

인스타그램 계정 로그인 sireal.co

 

노션 계정을 로그인하기 위해 Connect 버튼을 눌러줍니다.

노션 재피어 계정 연동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면서 Token 번호를 넣으라는 창이 나타납니다. 이제 노션을 켤 차례입니다.

노션 API 토큰 번호 입력

 

2. 노션 API 사용 시작하기

노션의 토큰 넘버를 넣어야 노션의 API와 Zapier를 연결해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선 노션 API를 활용하기 위해

아래 사진과 같이 왼쪽 사이드바 >> 설정과 멤버 >> 통합에 들어갑니다. 그 후, 노션의 새로운 통합을 생성해주기 위해 ‘나를 위한 통합 만들기‘를 클릭해줍니다.

노션 설정과 멤버 통합 화면

내 통합 목록 페이지가 나타나면 하단에 ‘새 통합 목록‘을 눌러줍니다.

노션 API 통합 목록 만들기

이름, 로고, 연결할 워크스페이스를 확인하고 제출을 눌러줍니다. 로고는 따로 넣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노션 API 통합 목록 정보 입력

제출을 눌러주면 시크릿이라는 곳에 내부용 통합 토큰이 나타납니다. ‘보기’를 눌러주신 후 ‘복사’를 눌러주세요.

노션 API 내부용 통합 토큰 복사

다시 Zapier의 토큰을 붙여 넣는 화면에 와서 복사한 Token을 붙여넣고 Yes, Continue를 눌러주세요. Zapier 노션 토큰 붙여넣기

 

3. 노션 DB 만들기

  1. 이제 노션으로 돌아와서 인스타그램 데이터를 넣을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봅시다.
  2. 그 후 오른쪽 상단 ‘공유’ 버튼을 누른 후 ‘사용자, 이메일, 그룹 또는 통합‘을 누릅니다.노션 데이터베이스 만들고 공유, 통합 생성하기
  3. 통합 파트에 생성한 통합인 ‘시리얼’을 선택하고 ‘초대‘를 눌러줍니다.노션 API 통합 초대하기

4. Zapier에서 노션 DB 연결하기

이제 다시 Zapier 화면으로 돌아옵니다.

Refresh list‘를 눌러 생성한 노션 데이터베이스 이름인 ‘인스타그램 DB‘가 나타나는 걸 확인한 후 체크하고 ‘Next‘버튼을 눌러줍니다.

    1. 노션 API 재피어, 노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기

노션 데이터베이스까지 연결이 완료되었습니다. 인스타그램 포스팅을 했을 때 노션 데이터베이스에 들어갈 데이터를 설정해주기 위해 ‘Use advanced mode‘를 눌러줍니다.

노션 데이터베이스 재피어와 연결하기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인스타그램의 계정이 잘 연결되었는지 테스트하는 버튼이 나타납니다.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이 맞는지 확인하고 Test trigger 버튼을 눌러줍니다.

인스타그램 테스트 트리거

 

테스트 트리거에 성공하였습니다. 자신의 계정에서 최근에 올라온 포스팅의 정보를 확인하고, 맞다면 Continue를 눌러줍니다.

재피어 인스타그램 테스트 트리거 성공

 

노션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Continue’를 눌러줍니다.노션 데이터베이스 재피어 확인

노션 계정이 맞는지도 확인하고 Continue를 눌러줍니다. 계정 연결은 하나밖에 안했으므로, 딱히 확인하실 것은 없습니다.

재피어 노션 계정 연결 확인

 

이제 노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정보들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노션으로 돌아와서 인스타그램 포스트 정보를 받을 속성들을 생성해줍니다. 아래와 같이 입력하시면 됩니다.

 

  • 속성 이름(속성 종류) : 설명
  • 날짜(날짜) : 포스팅이 올라간 시간을 넣어줄 곳입니다.(날짜 속성으로 하되, 속성의 이름도 반드시 ‘날짜’로 해야합니다.)
  • 이름(제목) : 인스타그램 포스트에는 이름이나 제목이 없으므로, 게시물의 링크를 넣어줄 예정입니다. 원하시는게 있으시면 다른 데이터를 넣어주셔도 괜찮습니다.
  • Caption(텍스트) : 포스트의 설명글을 넣어줄 곳입니다.
  • Permalink(URL) : 포스트의 고유 링크가 올라갈 예정입니다.
  • Media URL(URL) : 이미지 링크가 올라갈 곳입니다.
  • IMAGE(파일과 미디어) : Media URL에 들어간 이미지 주소를 복사/붙여넣고 갤러리로 보여줄 곳입니다.

노션 데이터베이스 속성 생성

노션의 데이터베이스 속성을 만들어주셨으면 다시 Zapier로 돌아와서 Refresh fields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노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생성한 속성들을 Zapier에서 볼 수 있을겁니다. 노션 데이터베이스 생성 후 리프레시 필드

 

노션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속성 중 노션 API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속성을 가지고 왔고, 노션 API로 데이터를 보낼 수 없는 파일과 미디어 속성은 가져오지 않았습니다.

노션 DB에서 다른 속성들을 추가, 수정, 삭제하신다면 Refresh fields 버튼을 다시 눌러주시면 됩니다.

재피어 노션 데이터베이스 속성 동기화

 

이제 속성들을 하나씩 클릭하여 넣어줄 데이터를 선택해줍니다.

날짜 속성에 타임스탬프를 넣으려는데, 타임스탬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에 ‘Show all options’를 눌러보면 나타납니다.

재피어 노션 데이터베이스

 

나머지 데이터들도 아래 이미지와 같이 채워줍니다.

Content 부분은 노션 DB에서 페이지를 열었을 때 나오는 페이지 내용 부분입니다. 포스트의 설명글은 노션 DB에 Caption에 넣었지만, 그 곳에서는 칸이 좁아 한 눈에 파악할 수 없으므로 Content 부분에 한 번 더 넣어줬습니다. 이렇게 해주시면 노션 DB의 페이지를 열었을 때 설명글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됩니다.

그 후 Refresh fields를 눌러보고 이상이 없다면 Continue를 눌러 줍니다.

노션 DB 재피어 속성 입력

 

노션 데이터베이스 속성을 수정, 변경, 삭제하고 Refresh fields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이미지가 나타날 때가 있습니다. 노션 DB의 내용이 변경되었고, 기존에 있던 속성은 제거되었다는 뜻이기 때문에 ‘Remove these extra fields‘ 버튼을 누르면 해결됩니다.

변경된 재피어의 속성은 빈 칸이 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를 다시 채워주고 Refresh fields 버튼으로 한 번 더 확인해준 후 Continue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재피어 노션 데이터베이스

 

5. 인스타그램 포스팅 확인하기

이제 드디어 대부분의 설정이 끝났습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Test & Review 버튼을 눌러 인스타그램에 포스팅한 내용이 노션 DB에 들어오는지 확인해봅시다.

재피어 인스타그램 노션 연동 테스트

 

테스트를 성공하면 아래 이미지처럼 Test was successful! 이라는 글이 뜨고 노션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가 들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Turn on Zap 버튼을 눌러 마무리해줍니다.

노션 인스타그램 연동 테스트 성공

 

마지막으로 Zap이 켜지고, 연동이 성공을 확인하고 Zapier는 종료합니다.

인스타그램 노션 재피어 연동 성공

Zap 링크를 갖고 싶은 분은 여기를 클릭해보세요.

 

실제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리고 노션 DB에 데이터가 들어오기까지는 최대 15분 정도 소요됩니다.

 

6. 노션 DB 꾸며주기

이제 어려운 것은 모두 끝나고 노션 데이터베이스를 보기 편하게 조금씩 바꿔주는 일만 남았습니다.

먼저 길어진 데이터들을 짧게 보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상단에 …을 누르고 셀 래핑을 꺼줍니다. 그러면 길어졌던 데이터가 한 줄로 깔끔하게 정리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노션 데이터베이스 셀 래핑

 

Media URL에 들어온 링크에 마우스를 대면 나타나는 연필 모양 버튼을 누르면 링크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

노션 데이터베이스 이미지 주소 복사하기

Ctrl(cmd) + A -> Ctrl(cmd) + C를 눌러 링크를 복사한 후 IMAGE 속성에 링크 임베드로 붙여넣어보세요.

노션 데이터베이스 링크 임베드

이미지 미리 보기 형태로 들어가게 됩니다.

노션 데이베이스 이미지 미리보기

갤러리 보기를 만든 후 데이터베이스 속성에서

  • 카드 미리보기 : IMAGE 속성
  • 카드 크기 : 중간 or 크게
  • 이미지 맞추기 : 켬

을 설정하고 속성을 자신에게 맞게 켜거나 끄고 순서를 조정해보세요.

노션 데이터베이스 갤러리 보기


여기까지 따라오느라 모두 고생하셨습니다. 노션 API와 재피어를 이용하면 다양한 업무를 자동화시킬 수 있으니 자유롭게 활용해보세요.

[Notion] 노션 습관 관리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with. 노션 함수

노션, 온라인 강의, 유데미, Udemy, 노션 초보

노션 강의/컨설팅 문의
노션 노하우 및 사례
노션 온라인 강의

노션 컨설턴트가 집필한 노션 가이드북(한글 개정판)

혹시나 이 팁이 도움이 되셨다면
👍 많은 Notioner에게 알려질 수 있도록
🙏 좋아요, 공유하기, 댓글을 부탁드립니다.

대한민국 최대 Notion Community
Notion.so 노션 한국 사용자 모임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groups/notion
네이버 카페 : https://cafe.naver.com/notionkr

노션 분석 2, 구글 태그 매니저 GTM 노션 페이지에 설치하기

노션 분석

목차

1. 구글 태그 매니저 접속하기

2. oopy에 구글 태그 매니저 설치하기

3. 구글 태그 매니저로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하기

4. 구글 태그 매니저 클릭 이벤트 설치하기


이번 시간에는 저번 시간에 이어 노션 분석 을 위한 oopy에 구글 태그 매니저를 설치하고, 구글 태그 매니저로 할 수 있는 기본 이벤트를 설치해보겠습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를 설치하면 노션 페이지에서는 할 수 없었던 디지털 마케팅의 일부분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 페이지에 들어온 사람들이 어떤 링크를 클릭했는지, 어떤 페이지의 스크롤을 내렸는지, 어떤 페이지를 많이 살펴봤는지 알 수 있는거죠. 구글 태그 매니저를 어떻게 활용하냐에 따라 디지털 마케터로서 무궁무진한 일들을 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몇 명이 제 강의계획서를 받았는지, 제 인스타그램 링크를 클릭했는지 같은 것들을 데이터로 살펴보고 있죠.

아래 사진처럼요. 문의하기, 도서 구매하기가 2개인 것은 테스트를 하느라 이것 저것 변경해봤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데이터는 빨간 사각형 안에 있는 데이터죠.

노션 분석

지난 시간에는 [Notion] 노션 페이지 데이터 분석 방법 정리 4가지 with.oopy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글을 읽지 못하셨다면 위 글을 읽고 오셔도 좋습니다.

1. 구글 태그 매니저 접속하기

일단 구글 태그 매니저에 먼저 접속해야 합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 홈페이지인 https://tagmanager.google.com/에 들어와보시죠. 구글 태그 매니저에 들어오신 다음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주세요.

아래와 같은 사진으로 구글 태그 관리자에 접속이 되면 오른쪽 상단 계정 만들기를 눌러주세요. 계정이 이미 있으시면 컨테이너 제작 단계부터 시작하시면 됩니다.

노션 분석

새 계정 추가에 들어가신 다음, 계정 이름, 국가, 컨테이너 이름을 입력해줍니다. 계정 이름은 위 사진에서 sijinii라는 곳에 들어가고, 컨테이너 설정에서 컨테이너 이름은 위 사진에서 sijin.me, sijinii.com blog 를 말하니 비교해보신 후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노션 분석

약관 동의 팝업이 뜨는데, 약관 동의는 한글로 되어 있어도 잘 읽지 않으니 맨 아래에 체크박스만 눌러주고 오른쪽 상단 를 눌러줍니다.

노션 분석

만들고 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게 됩니다. 아래 코드는 oopy에 설치할 코드이며, 아래 사진에서 오른쪽 상단에 빨간 사각형을 누르면 코드가 다시 나오게 되니 확인을 누르셨더라도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노션 분석

이제 이 코드를 설치하기 위해 oopy로 넘어가보시죠. 위 창은 둘다 복사를 해서 붙여야하기 때문에 탭을 닫지 마세요.


2. oopy에 구글 태그 매니저 설치하기

oopy에 구글 태그 매니저를 설치할 예정이니 우피 관리자인 app.oopy.io의 관리자 페이지에 들어와 줍니다. 관리자 페이지 맨 아래에 HTML 편집의 바로가기를 눌러 들어가줍니다.

노션 분석

다시 구글 태그 매니저에 들어와서 아래 이미지처럼 <head>영역에 들어갈 코드의 복사 버튼을 눌러 복사해줍니다.

노션 분석

그 후 우피의 페이지에 들어와서 <head> 영역에 코드를 아래와 같이 붙여넣어줍니다.

노션 분석

위 사진에서 <body> 영역의 코드도 똑같이 복사한 후 우피의 <body> 영역에 붙여 넣어줍니다.

그 후, <body> 오른쪽 저장 버튼을 눌러주면 끝!

노션 분석

구글 태그 매니저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요? 맞아요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저희집에 정수기를 설치만 했을 뿐, 서울에 있는 물을 가져오는지, 경기도에 있는 물을 가져오는 건지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추가 설정이 필요하단 말이니 넘어가주세요.


3. 구글 태그 매니저로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하기

구글 태그 매니저를 설치한 후 가장 먼저할 것은 구글 태그 매니저로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입니다. 이전 글에서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하는 방법을 알려드렸는데, 사실 그 방법은 구글 애널리틱스 초급 과정에 해당 되는 내용이죠. 이전 글과 같은 방식으로 구글 애널리틱스를 설치하면 기본적인 데이터를 살펴볼 수만 있을 뿐, 활용할 수는 없습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를 통해 우리가 원하는 데이터를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알아볼 수 있도록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정수기에 들어갈 물길을 지정해주는 거죠. 경기도의 물이 들어가냐, 서울의 물이 들어가냐 등. 복잡하신가요? 구글 태그 매니저를 제대로 활용하고 싶으시다면 디지털 마케팅에 대해 배워보시기 바랍니다.

서론이 길어졌네요. 구글 태그 매니저로 구글 애널리틱스를 설치한다면 앞의 글에서 설치했던 방식은 지워주셔야 합니다.

플러그인에 들어가 입력했던 구글 애널리틱스 아이디를 복사한 후 모두 지워준 다음 저장을 눌러주세요. 두개 다 입력되어 있다면 데이터가 중복으로 잡힐 수 있어, 한쪽만 설치해주려 합니다.

노션 분석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을 만드는 방법을 모르신다면 이전 글에서 계정 설치 방법을 보고 오셔야 합니다!

[Notion] 노션 페이지 데이터 분석 방법 정리 4가지 with.oopy

구글 애널리틱스 번호를 복사한 다음 아래 이미지처럼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 정보가 없어야 합니다.

노션 분석

복사한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 ID를 기억하신 다음 구글 태그 매니저로 들어갑니다. 왼쪽 사이드 바에서 태그를 눌러주세요. 그러면 오른쪽 새로 만들기버튼이 나오게 됩니다. 눌러주세요!

노션 분석

왼쪽 상단 태그 이름을 GA UA - ID로 입력해주고, 태그 구성을 클릭하면 오른쪽 패널이 나타납니다. 태그 유형에서 Google 애널리틱스: 유니버설 애널리틱스를 눌러줍니다.

노션 분석

새 변수를 클릭해 줍니다.

노션 분석

변수 이름을 GA UA - ID으로 입력해주고, 추적 ID에 아까 복사한 GA 추적 ID를 입력해줍니다. 오른쪽 상단에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노션 분석

Google 애널리틱스 설정에 위에서 설정한 변수 이름으로 설정한 다음, 아래 트리거 버튼을 눌러줍니다.

노션 분석

트리거는 다른 설정이 되어있지 않아 All Pages를 눌러주고 저장을 눌러줍니다.

노션 분석

아래 빨간 사각형처럼 태그가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한 다음 오른쪽에 제출 버튼을 눌러줍니다.

노션 분석

변경사항 제출이라는 창이 뜨는데 변경 사항 이름을 입력하고, 게시 버튼을 눌러주면 구글 태그 매니저를 이용한 GA 설치가 완료됩니다.

노션 분석


4. 구글 태그 매니저 클릭 이벤트 설치하기

이제는 구글 태그 매니저를 이용할 때 가장 기본 이벤트인 클릭 이벤트를 설치해보겠습니다. 클릭 이벤트는 특정 페이지에서 우리가 원하는 특정 링크를 클릭했을 때 GA에서 데이터를 볼 수 있게 만들어줍니다. 저는 제 인스타그램을 클릭하면 이벤트로 인식하도록 만들어보겠습니다.

홈페이지 맨 아래에 보면 Instagram 링크가 있는데, 이 링크를 클릭한 수를 GA에서 데이터로 볼 수 있게 해주는거죠. 먼저 이 링크에 걸어둔 링크를 복사합니다.

노션 분석

걸어둔 링크를 정확하게 복사하기 위해 링크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링크 주소 복사 버튼을 눌러줍니다.

노션 분석

구글 태그 매니저에 돌아와서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노션 분석

아래 이미지와 같이 설정해주세요. 중요한 것은 비 상호작용 조회를 참으로 설정하는 것과, 구글 애널리틱스의 추적 ID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나머지는 편하게 설정하셔도 됩니다. 그 후 바로 아래 트리거를 눌러줍니다.

노션 분석

아래와 같이 아무것도 없는게 정상이며, 오른쪽 상단 + 버튼을 눌러줍니다.

노션 분석

왼쪽 상단 Click link라고 트리거 이름을 설정해주고, 오른쪽 패널에서 링크만을 누르면 중간 화면이 나옵니다.

노션 분석

일부 링크 클릭을 누른 다음, 맨 앞 칸을 누른 다음 기본 제공 변수 선택을 눌러줍니다.

노션 분석

스크롤을 내려 Click URL을 누릅니다.

노션 분석

중간 패널을 같음으로 선택하고 아까 복사한 인스타그램 링크를 붙여넣고 저장을 누릅니다.

노션 분석

아래와 같은 페이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신 다음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노션 분석

제출을 누르기 전 미리보기 버튼을 누릅니다.

노션 분석

태그 어시스턴트가 나타나는데,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고 Connect 버튼을 누릅니다.

노션 분석

웹사이트를 입력하면 기존에 갖고 있던 웹사이트가 뜨는데 제가 링크를 클릭하고 싶던 링크인 인스타그램을 클릭하면 왼쪽 태그 어시스턴트에서 Tags Fired 라는 공간에 아까 설정한 link Click - Instagram이 뜨면 성공입니다.

아직 제출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Tags Fired에 나타나는 것만 확인하고 태그 어시스턴트는 종료해줍니다.

노션 분석

아까와 같은 방식으로 제출 버튼을 누른 다음 버전을 게시하면 완료됩니다.

노션 분석

버전 이름을 입력하신 다음 게시를 눌러주면 됩니다.

노션 분석

그 후 구글 애널리틱스에 들어오시면 아래와 같이 인스타그램 이벤트가 잡힌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분석 데이터를 보실 때, 구글 애널리틱스 오른쪽 상단에서 오늘 날짜로 찍혀 있는지 기간 설정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노션 분석


여기까지 따라오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를 제대로 활용해보고 싶으시다면 구글 태그 매니저를 공부해보시면 됩니다!

궁금하신게 있으시다면 아래 노션 네이버 카페에 질문을 남겨주세요!

https://cafe.naver.com/notionkr

© Sijin Jeon
출강 문의: [email protected] Chat | Blog | Brunch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 Openchat

안녕하세요. 노션레터 를 구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19년 6월부터 시작된 노션레터는 페이스북 특성 상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션 한국 사용자 모임의 정보와 노하우, 템플릿, 소식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체 데이터베이스는 Notion Korea, Community wiki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 노션 한국 사용자 모임장 전시진 드림

 

목차

1. 업데이트

2. 사례 소개

3. 포트폴리오

4. 팁/노하우

5. 채용공고

 


 

1. 업데이트

📣 2021년 4월 30일 노션 기능 업데이트

1) 애플 사파리 노션 웹클리퍼 출시

사파리를 주 브라우저로 이용하시는 분은 사파리에서 웹클리핑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에 정말 가끔 사파리 웹클리퍼를 찾으시는 분들이 계셨는데, 그분 들에게 희소식이네요.

노션레터
https://apple.co/3aPcYfr

 

2) 수식 입력 기능 강화(math equations)

수식 입력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 제가 수식 입력은 잘 몰라서.. 아래 사진을 확인해주세요.

노션레터
https://bit.ly/3eMsCJI

 

3) 리포트 페이지 기능 추가

공개된 페이지가 모욕적이거나 부적절하거나 금지된 콘텐츠일 경우 노션에게 리포트를 보낼 수 있습니다. 콘텐츠 사용 정책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보세요.

노션레터
https://bit.ly/3gPVyDc

 

자세한 사항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해보세요🙂

🌟 What’s New?

 

📣 2021년 4월 21일 노션 기능 업데이트

1. 페이지 로딩 속도가 50% 빨라졌습니다. 페이지 간 이동속도도 빨라졌다고 해요!

2. 애플 페이와 구글 페이를 지원합니다. 신용카드 등록만 가능하던 이전과 달리 결제 방법이 추가되었습니다.

노션레터

 

2. 사례 소개

카카오 T 퀵 기사님을 모집합니다

노션레터
https://kakaot-quick-recruit.oopy.io/

 

바냐야 안녕?

노션레터
https://www.notion.so/5ad149b50a814b678f92045b36a6d3f2

 

부산 커뮤니티 서비스 100UP

노션레터
https://www.notion.so/100UP-e1b0ec8337414d2e83664e426b3bbc6f

 

주식 포트폴리오(공유)

노션레터
https://www.notion.so/ba5a54c3c87342a9a16209a711a4a17b

 

SKT AI Fellowship 3기 모집

노션레터
https://www.sktaifellowship.com/

 

3. 포트폴리오

전시진: Home 🌸

노션레터
http://sijin.me/

4. 팁/노하우

1) 노션 익명 댓글 서비스 joey 노션 기능 업데이트

oey로 생성한 블록을 페이지에 임베드하시면 다양한 기능(✉️ 댓글, ✋투표뿐만 아니라 ❤️ 좋아요, 🆎 A/B, 📋 설문조사 등)을 사용해보실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 조이 홈페이지: http://joey.team/
📚 가이드 페이지: http://guide.joey.team/

문구: 'Which block would you like to use? Joey Comment Block Freely exchange conversation anonymously. Poll Block people's opinions by vote. Text Input Block Have epeople enter enter informationint text. AB Block Find out whicho hetwo options people will prefer. Like Block peope like your contents. Survey Block Get information you want people. Coming Soon'의 이미지일 수 있음
http://joey.team/

2) 구글캘린더를 노션으로 옮기기

## 구글캘린더를 노션으로 옮기기

1. 구글 캘린더를 ics 파일로 export 합니다.
2. ics 파일을 excel 파일로 변환합니다. https://www.projectwizards.net/en/support/ics2csv-converter
3. 가져올 엑셀 데이터를 셀렉트 하고 클립보드에 복사(Ctrl + C)합니다.
4. 복사한 데이터를 붙여 넣을 노션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5. 복사한 데이터를 노션 페이지에 붙여넣기하면 새로운 표 데이터베이스가 생성 됩니다.
5-1. 클립보드에 들어온 데이터가 노션에 옮겨질 때, 엑셀의 데이터타입도 적용됩니다. (날짜는 날짜로, 숫자는 숫자로 입력됩니다.)
6.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의 보기 방식을 캘린더로 바꿉니다.

https://www.projectwizards.net/en/support/ics2csv-converter

 

3) [Notion] 노션 페이지 데이터 분석 방법 정리 4가지 with.oopy

노션 페이지를 만들었을 때 페이지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 4가지를 정리해보았습니다.

1. Bit.ly
2. Hits
3. oopy.io
4.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with.oopy)

https://sijinii.com/notion/page-data-analytics/

4) [Notion] 노션 습관 관리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with. 노션 함수

노션으로 하루의 루틴을 관리하고 싶은 분들이 보시면 좋은 내용입니다. 페이지를 만드는 것부터 날짜를 쉽게 입력하는 방법, 함수, 관계형 데이터까지 배울 수 있습니다. 물론 템플릿만 필요하시다면 그것까지 준비했어요.

목차
1. 노션 습관 관리 날짜 데이터 입력하기
2. 노션 함수 입력하기
3. 관계형 데이터와 롤업 생성하기
4. 보기 추가하기
5. 노션 습관 관리 템플릿 받기

https://sijinii.com/notion/routine-manage/

 

5. 채용공고

[채용] Software Engineer (신입)

애프터모멘트의 새로운 멤버를 찾습니다.

슬리드 팀과 함께 하실 분을 찾고 있어요!

 


[Notion] 노션 습관 관리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with. 노션 함수

[Notion] 노션 데이터베이스, 드라마 명대사 쉽게 저장하는 방법 (feat.Slid)

[Notion] 노션 페이지 데이터 분석 방법 정리 4가지 with.oopy

노션 함수, 관계형 데이터, 롤업을 이용해 습관 관리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노션 습관 관리 템플릿

이번 시간에는 노션으로 하루의 루틴을 기록할 수 있는 노션 습관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이 템플릿을 만들기 위해서는 함수, 관계형 데이터, 롤업, 보기 방식, 필터, 정렬을 사용할 예정이라, 평소 노션의 고급 기능에 관심 있으셨던 분들이 따라 만들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목차

1. 노션 습관 관리 날짜 데이터 입력하기

2. 노션 함수 입력하기

3. 관계형 데이터와 롤업 생성하기

4. 보기 추가하기

5. 노션 습관 관리 템플릿 받기

1. 노션 습관 관리 날짜 데이터 입력하기

페이지를 하나 생성한 다음 ‘전체 너비’로 설정해줍니다. 그 후 /표를 눌러 표를 만들고 아래에 있는 속성들을 차례대로 입력해줍니다. 체크박스 속성을 이용했으며, 습관은 여러분들이 정하시는 것이기 때문에 마음에 드는 습관으로 바꾸실 수 있지만, 지금은 저와 똑같은 속성을 추가하셔야 나중에 함수를 입력하실 때 혼란이 없으실 것입니다.

노션 습관 관리

물 2L 마시기, 운동하기, 뉴스레터, 식단 조절, 글쓰기 갯수도 5개로 맞추시는 걸 추천해드리며, 갯수가 5개보다 적을 경우 속성을 단순히 숨기면 되지만, 속성을 더 추가하고 싶을 경우에는 함수의 원리를 잘 파악하셔야 하기 때문에 일단 5개로 실습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노션 습관 관리

다음은 날짜 데이터를 입력해야 하는데, 현재 글을 쓰고 있는 시점이 4월 27일이라서 12월 31일까지 1년 치를 일일이 마우스로 클릭해서 입력해주기에는 너무 귀찮기 때문에 머리를 쓸겁니다.

크롬 브라우저의 인터넷 주소창에 아래와 같이 sheet.new라고 입력하고 새로운 구글 시트를 열어 생성해줍니다. 구글 시트가 불편하신 분들은 엑셀을 열어도 관계없습니다.

노션 습관 관리

어차피 지워질 시트이니 제목은 입력하지 않고 첫번째 칸에 날짜를 입력합니다. 날짜를 입력하는 서식은 월/일/연도순입니다. 2021년 4월 27일의 경우 04/27/2021 처럼 입력하고 셀 채우기를 통해 2021년 12월 31일까지 만들어줍니다.

노션 습관 관리

날짜를 입력했는데 원하는 서식으로 나오지 않는다면 날짜 열 또는 셀을 선택한 다음 아래 사진 처럼 서식 > 숫자 > 더보기 > 날짜 및 시간 형식 더보기에 들어갑니다.

노션 습관 관리

그리고 맞춤 날짜 및 시간 형식을 아래와 같이 월/일/연도순으로 바꾸고 적용해줍니다.

노션 습관 관리

오늘 날짜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날짜 서식을 바꾸었다면, 전체 데이터를 선택하고 복사해줍니다.

노션 습관 관리

노션 페이지에 돌아와서 아래 사진과 같이 한 셀만 선택한 다음 붙여넣기 해줍니다. 표에서 한 셀만 선택하려면 셀을 선택하고 ESC를 누르면 한 셀만 선택됩니다.

노션 습관 관리

데이터를 붙여 넣으면 아래 사진과 같이 날짜 열에 1년 치 날짜 데이터가 모두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 데이터의 정렬이 맞지 않다면, 날짜라고 적힌 속성 헤드를 클릭한 다음 오름차순을 눌러 정렬해줍니다.

노션 습관 관리

노가다의 향연이었던 날짜 데이터를 모두 입력하셨습니다. 고생하셨어요.

2. 노션 함수 입력하기

이제 함수를 입력해볼겁니다. 저는 제가 함수를 만들어서 사용하는데, 함수를 만드는 방법까지 알려드리기엔 글로는 어려워서 제가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면 저는

가장 기본적으로 하고 싶은 함수를 먼저 구현하고 살을 붙이는 방식으로 시행착오를 겪어 만들어갑니다.

예를 들어 힘내라는 함수 열에 ‘물 2L 마시기 속성이 체크 완료되어 있으면 “잘했어”라고 입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더 먹어”라고 입력한다라는 기본 IF 함수를 먼저 작성해봅니다.

노션 습관 관리

일단 머릿속에 그려지는 함수를 먼저 써보는거죠 저는 아래와 같이 입력했습니다.

prop("물 2L 마시기") == true ? "잘했어" : "더 먹어"
노션 습관 관리

함수창 맨 오른쪽에 완료 버튼이 활성화되면서 함수가 종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노션 습관 관리

함수가 올바르지 않으면 완료버튼이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함수가 오류가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맨 아래에 보시면 자신의 함수에서 어떤게 오류인지 알려주는데,

노션 습관 관리

영어를 못하시는 분들은 파파고에 돌려보셔도 답변을 볼 수 있으나, 문제는 함수를 못하시는 분들은 번역을 봐도 무슨 말인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저는 무식하게 뚫어져라 쳐다봅니다. 그리고 이것도 바꿔보고 저것도 바꿔보고 하다보면 답이 나오더군요.

저도 다른 분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수를 만들 수 있다 뿐이지 완벽하게 이해하고 만드는게 아니기 때문에 시행착오를 겪으며 생성합니다.

노션 습관 관리

어쨌든 이러한 함수를 이용해 몇개의 체크박스가 완료되냐에 따라 멘트를 다르게 입력하고 싶을 때 함수를 만들어봅니다. 체크박스 자체부터 함수를 만들기에는 길어지기 때문에 힘내!라는 속성 옆에 달성률이라는 함수 속성 하나를 더 생성해주고 아래와 같은 함수를 입력합니다.

toNumber(toNumber(prop("물 2L 마시기")) * 20 + toNumber(prop("운동하기")) * 20 + toNumber(prop("뉴스레터")) * 20 + toNumber(prop("식단 조절")) * 20 + toNumber(prop("글쓰기")) * 20)

아래 이미지처럼 완료 버튼이 뜨지 않으면 저랑 속성 이름과 차이가 있으실테니 속성 이름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도저히 안되신다면 맨 아래에서 템플릿을 받아가셔도 됩니다 🙂

노션 습관 관리

그 다음 힘내!라는 속성에 아래와 같은 함수를 입력해주면 체크박스 갯수에 맞게 멘트가 변경됩니다. 제가 작성한 멘트가 아니라 다른 멘트로 하고 싶은 분들은 큰 따옴표(“”) 사이에 있는 글자들을 바꿔주시면 됩니다.

(slice(format(prop("달성률")), 0, 2) == "20") ? "20%로 되겠는가?" : ((slice(format(prop("달성률")), 0, 2) == "40") ? "40%도 만족할 수 없네" : ((slice(format(prop("달성률")), 0, 2) == "60") ? "60%라.. 노력은 인정해주지" : ((slice(format(prop("달성률")), 0, 2) == "80") ? "80%? 오늘은 적당하군" : ((slice(format(prop("달성률")), 0, 2) == "10") ? "모든 날이 좋았다" : "힘이 없어 보이는구만 자네"))))
노션 습관 관리

그렇게 함수를 제대로 입력하고, 달성률 속성을 숨겨주면 아래와 같은 이미지로 체크박스 갯수에 따라 서로 다른 멘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노션 습관 관리

참고로 페이지 이름 부분인 이름속성에 이름이 없으면 캘린더 보기에 나타나지 않으니 이름을 느낀점으로 변경해준 뒤, 그날 루틴을 하며 있었던 일들을 작성해봅니다. 내용이 없다면 일단 내용은 있어야 하므로 스페이스 키를 눌러 띄워쓰기를 한 다음 모두 채워줍니다. 한 칸에만 스페이스 키를 눌러 입력한 다음 ESC를 눌러 셀 하나를 선택하고 복사한 후 느낀점열을 모두 선택(SHIFT + 방향키)한 다음 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3. 관계형 데이터와 롤업 생성하기

이제 오늘 얼마나 달성했는지에 따라 이번달의 평균 달성률을 표시해줄겁니다.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4월에는 50%, 5월에는 14.839%를 완료했다는 걸 볼 수 있죠.

노션 습관 관리

데이터베이스 하나를 만들어준 다음 월별 달성률이라는 이름을 넣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2021년 01월부터 2021년 전체까지 입력해줍니다. 그 후 관계형이라는 속성을 만들고 속성 유형을 관계형으로 바꿔줍니다.

노션 습관 관리

관계형 속성을 만들면 아래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라는 창이 뜰텐데, 처음에 만들었던 습관 관리 리스트를 선택해 연결해줍니다. 제 리스트에 고래가 있는 이유는 같은 이름의 데이터베이스가 2개 있기 때문에 헷갈리지 않기 위해 잠깐 넣어줬습니다.

노션 습관 관리

관계형 데이터를 연결해주면 아래 이미지처럼 습관 관리 리스트에 월별 달성률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속성이 나옵니다. 빈칸을 클릭해서 날짜에 맞는 관계형 데이터를 연결해줍니다. 월별로 하나씩만 입력하고 ESC를 눌러 셀을 선택한다음 복사, 붙여넣기하면 쉽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노션 습관 관리

월별 달성률이라는 데이터베이스에는 아래 이미지처럼 관계형 속성에 여러 페이지가 연결된 모습이 보일텐데 관계형 속성은 숨김 처리하고, 오른쪽에 달성률(%)이라는 속성을 만들어 롤업속성을 적용해줍니다.

노션 습관 관리

생성한 달성률 속성에서 빈칸을 클릭하면 관계형 데이터를 연결해줄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순서대로 선택하면 월별로 체크박스 갯수에 따른 평균 숫자를 볼 수 있습니다.

노션 습관 관리

여기까지 하면 진짜 완료! 이제는 월별로 보기를 추가하고 필터링 작업을 해주면 됩니다.

4. 보기 추가하기

캘린더에 입력할 것이므로 보기 추가를 누르고 4월, 캘린더를 눌러 보기를 생성합니다.

노션 습관 관리

아무런 속성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이름도 없기 때문에 빈칸으로 나타납니다.

노션 습관 관리

아래 이미지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속성의 스위치를 켜고, 순서를 지정해줍니다. 속성에서 지정한 순서에 따라 캘린더에서 표시되는 순서도 달라집니다.

노션 습관 관리

4월이라는 보기를 만들었으니, 데이터베이스 필터를 통해 4월 1일 ~ 4월 30일 필터를 걸어줍니다.

노션 습관 관리

남은 5월 ~ 12월까지 보기와 필터를 추가해 마무리 해줍니다.

노션 습관 관리

여기까지 만들고 나면 아래와 같은 습관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생깁니다. 캘린더에서 마우스로 체크박스를 클릭하면 할일을 완료할 수 있고, 오른쪽에서는 월별 달성률을 볼 수 있습니다.

노션 습관 관리 템플릿

노션 템플릿

필요하신 분은 아래 내용을 입력 후 제출 버튼을 눌러주세요.

템플릿 신청하기

드라마 명대사 받으러 가기


© Sijin Jeon

출강 문의: [email protected] Chat | Blog | Brunch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 Openchat

노션 페이지 데이터 분석 방법 정리 4가지

많은 사람들이 노션 홈페이지나 포트폴리오, 회사 소개, 채용 공고 등 다양한 용도로 페이지를 만들어 배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노션의 기본 기능만으로는 실제 어떤 사람들이 우리 페이지에 관심을 가지는지, 어떤 지역 사람들이 들어오는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페이지를 조회수를 파악할 수도 없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번에는 우리가 만든 페이지의 노션 데이터 분석 방법을 정리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bitly, 비틀리, 링크 줄이기, 링크 줄이기 홈페이지, 노션 데이터 분석
2

목차

1. Bit.ly

2. Hits

3. oopy.io

4.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with.OOPY)


1. Bit.ly – 노션 데이터 분석

노션 페이지를 만들었을 때 가장 기본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은 링크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대표적으로 링크를 줄이는 사이트는 bitly.com이 있습니다.

bitly, 비틀리, 링크 줄이기, 링크 줄이기 홈페이지, 노션 데이터 분석
bitly, 비틀리, 링크 줄이기, 링크 줄이기 홈페이지

bit.ly(이하: 비틀리)는 긴 URL을 짧게 줄여주는 해외 서비스입니다. 노션 페이지의 긴 URL을 위 사이트에서 줄이면 https://bit.ly/3rWgXMF 와 같은 짧은 URL이 나타나죠. 앞에 https://는 없어도 링크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더 줄어듭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줄인 링크를 클릭해서 접속하면 얼마나 사람들이 클릭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링크를 줄일 수 있지만, 회원가입을 해야 분석 데이터 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링크 클릭수 같은 노션 데이터 분석 이 필요하시다면 회원가입 후 이용을 추천드립니다.

회원가입을 한 후 링크를 줄여서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언제 얼마나 클릭했는지, 어떤 경로를 통해 클릭했는지, 어느 국가에서 클릭했는지 까지 분석 할 수 있죠. 저는 노션 의 도움말과 지원 페이지를 줄여서 공유한 적이 있는데, 4월 8일에 공유한 링크를 현재까지 29번 클릭한 분석 결과를 볼 수 있네요.

비틀리, 비틀리 홈페이지, 비틀리 분석, 노션 데이터 분석

비틀리는 크롬의 확장 프로그램으로 설치하면 단축키를 이용해 더욱 편리하게 단축 URL을 이용할 수 있답니다.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해 단축 URL을 만드는 방법을 알고 싶으시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크롬 확장 프로그램, 비틀리, 크롬 익스텐션, 노션 데이터 분석

단축 URL은 다른 사람들에게 링크를 공유할 때 긴 URL보다 상대적으로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어 좋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긴 URL을 사용했을 때보다 단축 URL을 사용했을 때 훨씬 더 깔끔한 인상을 전달해줄 수 있는게 보이시나요?

URL 길이 비교 노션 데이터 분석

bit.ly같은 단축 URL은 bit.ly/XXX에서 XXX 부분은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링크 내용을 바꿀 수도 있어서 더욱 접근하기 쉽답니다. 예를 들면 https://bit.ly/선릉점심밥집 과 같은 형태예요.

그 외에도 vo.la같은 단축 URL 서비스도 있으니 편하신 서비스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분석하면 됩니다.

단축 URL 단점

URL을 줄여서 데이터를 분석할 때 단점은 중복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클릭수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한 사람이 10번 클릭하면 클릭수가 10개 증가하는 경우죠. 제가 위에서 공유한 사진도 29개의 클릭이 있었지만, 29명이 각각 1번씩 클릭했는지, 1명이 29번을 클릭했는지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들어왔는지 파악하기는 어려운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2. Hits – 노션 데이터 분석

Hits는 추적 코드(?)와 같은 것을 노션 페이지 내에 심어서 페이지에 조회수 새어주는 ‘외부 서비스’입니다.

hits 홈페이지, 노션 데이터 분석

노션 페이지에 심었을 때는 아래 사진의 빨간 사각형처럼 나타납니다. 25/55091이라는 숫자로 되어 있는데 22는 오늘 현재 페이지 조회수, 55091은 이 트래킹 코드를 심은 이후 전체 조회수를 얘기합니다. 노션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조회수 추적을 위해 hits를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notion wiki, hits, sijin.me, 노션 데이터 분석

노션 커뮤니티에서는 가장 많이 알려진 조회수 추적 서비스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hits라는 단어를 다른 영어나, 한글로 변경할 수 있으며, 앞에 아이콘을 달수도 있습니다. 또한 배경색, 글자색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hits, custom, 노션 데이터 분석

Hits 단점

만드는 방법도 간편하고, 가입도 필요없고 직관적인 Hits지만 역시 단점이 있습니다. 바로 단축 URL처럼 중복 데이터 수집이 된다는 것이죠. 단축 URL은 클릭한 횟수만큼 데이터가 측정되는데, Hits는 페이지에 방문한 횟수만큼 데이터가 측정되기 때문에 한 사람이 10번 방문하면 조회수가 10번 올라가게 됩니다. 또한 단축 URL처럼 IP 차단이나 생산자는 제외시키는 옵션 같은 것은 없기 때문에 제가 만든 페이지에 제가 들어와서 새로고침을 계속 누르면 조회수가 계속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부에 공개하는 페이지에 Hits를 단 이후에는 자신은 최대한 안들어와야 그나마 방문 횟수를 추적할 수 있게 됩니다.

3. oopy.io – 노션 데이터 분석

세 번쨰는 이번에 소개시켜드리려고 하는 외부 서비스 oopy입니다. oopy.io는 노션 커뮤니티에 계신 한국 개발자 분이 만든 외부 서비스입니다. 노션 페이지를 oopy에 연결하면 oopy를 통해 노션에서는 할 수 없는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죠. 폰트를 변경하거나, URL을 깔끔하게 정리하거나, 스크립트 코드를 설치하거나, 메신저를 다는 등 정말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어요. oopy의 소개와 설치 방법을 영상으로 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oopy를 이용하시면 페이지 조회수를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주고 있어요. Hits처럼 페이지 별로 오늘의 조회수를 볼 수 있고요.

oopy console page view, 노션 데이터 분석

oopy에 연결한 페이지가 많다면 아래 사진처럼 각 페이지별 조회수, 전체 페이지 조회수를 볼 수 있답니다. 저는 제 포트폴리오 페이지를 oopy에 연결해뒀는데요, 아래 페이지별 차트에 보시면 전체 페이지의 1달 조회수는 15,554회, 오늘 페이지 조회수는 131회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oopy console all page view, 노션 데이터 분석

그 외에도 /wiki라는 페이지는 전체 페이지에서 21%의 조회수를 차지한다는 내용을 볼 수 있고, 해당 페이지를 클릭하면 자세한 조회수를 볼 수 있습니다.

oopy wiki page view, 노션 데이터 분석

oopy 단점

oopy의 단점은 유료 서비스라는 점입니다. 하나의 도메인 당 3,900원/월 이라는 비용을 내야하죠. 도메인을 구매하지 않으면 sijin.oopy.io라는 형태로 저의 브랜딩이 되어 있지 않은 도메인을 이용해야 합니다. 도메인을 외부에서 구매하려면 또 비용을 내야하기 때문에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oopy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한다면 전혀 아깝지 않은 금액이니 글을 끝까지 읽어주세요!

하지만 추천인 제도를 이용하면 월 이용료가 반으로 줄어들어 1,950원이라는 금액만 한달에 한번씩 내면 되기 때문에 부담이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도메인을 구매해서 노션 페이지에 연결해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 영상을 참고해보세요.

4.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with.OOPY) – 노션 데이터 분석

oopy의 진가는 스타일, 폰트 설정도 있지만 외부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를 쉽게 연동할 수 있는데요, 구글 애널리틱스라는 분석 도구를 연결하면 단축 URL, Hits, oopy의 페이지뷰에서 등장했던 ‘중복 데이터 수집’ 단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구글에서 나온 데이터 분석 도구인데 이걸 oopy에 연결해 실제 웹사이트를 분석하는 도구처럼 이용하는거죠. oopy에서는 별다른 코드 작업이 없이 구글 애널리틱스 페이지만 만들면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만들어두었어요.

구글 애널리틱스 외에도 페이스북 픽셀, 채널톡, 페이스북 챗, 디스커스 등 다양한 서비스들을 쉽게 연동할 수 있답니다.

oopy console - plugin, 노션 데이터 분석

구글 애널리틱스 페이지를 oopy와 연결해볼건데요, oopy를 노션 페이지와 연결하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1. 노션 페이지에 개인 도메인 연결하기
  2. 노션 페이지와 oopy 연결하기

우선은 구글 애널리틱스 페이지를 먼저 만들어야 합니다. 아래 구글 애널리틱스 사이트에 들어갑니다. 후 왼쪽 아래에 관리 버튼을 눌러줍니다.

https://analytics.google.com/

구글 애널리틱스 만들기, 노션 데이터 분석

속성 만들기를 선택해줍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생성2, 노션 데이터 분석

속성 이름, 보고 시간대, 통화를 지정해주고, ‘고급 옵션’ 버튼을 클릭하여 유니버셜 애널리틱스 속성 만들기를 선택한 다음 웹사이트 URL을 넣어줍니다. oopy에 연결했을 때 oopy 관리자 모드의 홈 화면에 뜨는 도메인을 입력하면 됩니다. 마지막에 유니버셜 애널리틱스 속성만 만들기 버튼을 선택하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GA4를 만들어도 되지만 저는 유니버셜 애널리틱스가 상대적으로 익숙하여 해당 속성으로 만들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생성 4, 노션 데이터 분석

아무거나 선택하시고 ‘만들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생성 5, 노션 데이터 분석

만들고 나면 속성 -> 추적 정보 -> 추적 코드에 유니버셜 애널리틱스의 추적 ID가 나옵니다. 이 추적 ID를 복사하고 oopy의 관리자 모드에 들어갑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생성 6, 노션 데이터 분석

oopy의 관리자 모드에 들어와서 맨 아래에 내려오면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바로가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oopy console plugin go, 노션 데이터 분석

복사한 추적 ID를 아래 영역에 넣어주고 저장 버튼을 눌러주면 구글 애널리틱스와 연결이 완료됩니다.

oopy console google analytics, 노션 데이터 분석

이후 여러분의 노션 페이지에 들어오는 사용자들은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볼 수 있게 됩니다.

위에 oopy의 홈화면에 보시면 한달 간 페이지 뷰는 15,554인 반면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최근 한 달 간 사용자 수는 2,538명인걸 볼 수 있습니다. 이 말은 2,538명이 15,554번의 페이지를 조회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이번 한달 간 제 페이지에 처음 들어온 신규 방문자는 2,388명이고, 이탈률은 45%, 한번 들어왔을 때 4.55번의 페이지를 확인했으며, 평균 3분 8초 동안 머물렀다 라는 정보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아래에는 어떤 채널을 통해 제 페이지에 들어왔고, 채널별 평균 데이터도 모두 파악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생성 8 sijin.me, 노션 데이터 분석

노션으로 만든 페이지가 외부 홍보용, 회사 소개 등 데이터를 분석해야 할 일이 있으시다면 위와 같이 oopy를 연결해서 제대로된 데이터를 이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다음 글에서는 oopy에 구글 태그매니저를 심고, 이벤트를 기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Notion] 노션 데이터베이스, 드라마 명대사 쉽게 저장하는 방법 (feat.Slid)

IT 뉴스 스타트업, 아웃스탠딩에 기고한 글입니다.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전시진님의 기고입니다. 


 

 

스타트업에 종사하거나

생산성 도구에 관심 있는 분들이

최근 가장 많이 들어본 도구는 아마도

‘노션(Notion)’일 겁니다.

 

일 잘한다는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중견기업, 대기업에서도

팀 단위로 사용할 만큼 핫한

협업 도구죠.

 

개인에게는 메모앱으로,

팀이나 조직에는 협업 도구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실제 노션의 제작 목적은

‘웹페이지 제작’입니다.

 

비개발자도 코딩 없이 쉽게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출발했는데요.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활용 사례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일기장이나 가계부가 되기도 하고,

고객관리(CRM) 도구나

프로젝트관리(PM) 도구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출처=노션)

 

노션의 입력 방식이나 구조는

에버노트, 원노트, 드롭박스 페이퍼 등

다른 메모앱과는 조금 다릅니다.

 

(참조 – 두번째 두뇌를 만들어주는 메모 및 문서 도구 10선)

 

위 도구들이 O/S 기본 메모앱처럼

줄 글을 주르륵 써 내려가는 반면,

노션은 모든 요소가 ‘블록’ 형태입니다.

 

블록 종류로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임베드, 데이터베이스가 있습니다.

 

처음 사용할 때는

줄 바꿈이 아니라 문단 나눔이 된다거나,

원하는 메모장 형태로 나오지 않아서

불편하다는 반응이 있는데요.

 


 

퍼포먼스 마케터 로 일을 잘하고 싶은 신입, 업계에 이름을 남기고 싶은 신입 등 열정적인 신입은 가끔 이런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지금 내가 일을 잘 하고 있는 것인가?’ 저는 앞서 말한 모든 예시에 속하는 열정적인 신입으로서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데이터 개요와 글의 목적이 자세히 궁금하신 분은 아랫글을 먼저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이 글은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 쓴 글입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아직 1, 2, 3편을 읽지 않으셨다고요? 이 글은 4편입니다! 아래 Intro와 #1주요 업무, #2 자격 요건 편을 읽어보세요!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Intro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1주요 업무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2자격 요건

펭수, 펭수짤, 펭하,

 


 

RAW DATA 가공

1편, 2편에 이어 3편까지 데이터를 분류해보니 이제서야 분류의 기준이 잡히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 편이긴 하지만 이번 편에는 조금 더 정제된 분류 기법을 적용했습니다. #2 자격 요건 편에서 적용했던 취업 컨설팅을 제공하는 HR 전문 기업 잡이룸에서 제공하는 역량 분류 체계는 여전히 참고했습니다. 그렇지만 이번에는 분류 기준이 조금 더 좁혀진 것에 따라 복수 태그보다는 단일 태그가 많아져서 전체 태그 수가 줄어들었습니다.

채용 공고, 잡이룸
http://www.joberum.com/plan/dic/ability01.asp?pc=1

 


 

| SUMMARY

총 50개의 채용 공고 중 193개의 우대사항이 수집되었습니다. 기업당 평균 3.86개를 작성했으며, 이는 주요 업무(총 221개, 평균 4.4개), 자격 요건(총 227개, 평균 4.54개)보다 적은 수치입니다. 중복을 제거하고 난 후 180개가 남았습니다. 중복을 제거한 기준은 앞의 글들과 마찬가지로 텍스트가 90% 이상 일치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번에는 특정 회사를 타겟팅하여도 회사명만 지웠을 뿐 삭제하지 않았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터가 가져야 할 ‘필수’ 조건이 아니라 ‘권장’ 조건이기 때문입니다.

 

1) 전체 우대 사항

우대 사항, 퍼포먼스 마케터, 퍼포먼스 마케팅, 구글 애널리틱스, 노션, notion

  • 채용 공고 : 50개
  • 전체 수집 : 193개
  • 중복 제거 : 180개
  • 평균 : 3.86개

 

2) 주요 키워드

퍼포먼스 마케터, 퍼포먼스 마케팅, 페이스북, 구글 애널리틱스, 노션

  • 키워드 수 : 18개
  • 전체 키워드 수 : 242개

 


 

| 공통기본

경험(52), 도구(41), 산업(26), 업무(21), 대행사(11), 이해도(9), 디자인(7), 콘텐츠(5)

퍼포먼스 마케팅, 퍼포먼스 마케터, 페이스북, 구글 애널리틱스, 노션

 

1) 경험(52)

경험은 어디를 가나 빠지지 않습니다. 아주 중요하기 때문이죠. 우대 사항 편에서는 ‘경험’이 단일 태그로 사용되지 않고 복합 태그로 사용되었습니다. 글로벌, 도구, 업무, 분석 딱 4가지에서요. 해당 4개의 경험은 자격 조건이나 주요 업무와 같이 퍼포먼스 마케팅 경험에 관해 묻는 내용입니다. 각 태그는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하죠.

 

2) 도구(41)

파이리, 리자드, 리자몽, 전직, 진화, 포켓몬, 포켓몬스터

자격 요건이나 우대사항과 다른 점은 일반적인 마케터의 영역이 아니라 개발자의 영역까지 걸쳐 있는 파이썬(Python), SQL, R 등과, 일반적으로 접할 수 없는 앱스플라이어(Apps flyer), 3rd party tool 등을 언급했다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우대 사항이니만큼 마케터의 영역에서 상위 기술이라고 생각하는 SQL, Python, R을 할 줄 아는 게 가산점을 받기에 도움이 됩니다. 마케터가 1차 전직이라면 SQL을 할 줄 아는 마케터는 2차 전직쯤? 데이터 애널리틱스의 저 어디쯤 전직 퀘스트를 수행 중일지도.

 

SQL의 정의

SQL(/ˈɛs kjuː ˈɛl/,[1] or /ˈsiːkwəl/, Structured Query Language[2][3][4][5], 구조화 질의어, S-Q-L[6])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자료의 검색과 관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과 수정, 데이터베이스 객체 접근 조정 관리를 위해 고안되었다. 많은 수의 데이터베이스 관련 프로그램들이 SQL을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다.

출처 : 위키백과

 

제가 알기로 마케터에게 SQL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개발 언어입니다. 단순히 물리적 제품을 ‘판매’하는 마케터는 페이스북, GA 정도만 다룰 줄 알면 되지만, 소프트웨어 내에서 사용자들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케팅을 해야 한다면 필요한 기술입니다. 마켓컬리나 쿠팡처럼 자사 플랫폼 내에서 물리적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는 SQL이 필요합니다. 본인이 지원하는 산업이 어떤 산업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산업(26)

뷰티, 이커머스, B2B, 스타트업 등 회사가 속한 산업에 대한 경험입니다. 업계, 산업에 대한 배경지식은 책이나 인터넷을 통한 지식보다는 경험이 필요하고, 그 업계에서 오랫동안 종사해야 알 수 있는 흐름, 인사이트, 네트워킹 등이 있어서 산업에 대한 경험도 많이 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산업의 특성을 몸으로 체감하여 마케팅에 적용하는 것, 관련 종사자들과 네트워킹을 가지고 있는 것은 큰 무기가 될 수 있으니까요.

 

4) 업무(21)

여기에서 업무는 각종 캠페인, 데이터 분석, 최적화 경험입니다. 진짜 퍼포먼스 마케팅을 해본 사람, 캠페인 운영, 최적화 등을 실무로 접해본 사람을 말합니다.

 

5) 대행사(11)

대행사 분들은 아무래도 한 가지 분야에 대해 미친 듯이 파며, 시간과 노력을 아끼지 않아 실력이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게다가 대행사 분들은 젊음까지 갈아 넣는 분들이 한둘이 아니라는.. 존경합니다. 대행사 출신분들이 인하우스로 오면 그렇게 세상 좋아졌다고들 하시더군요. 스타트업은 인하우스라도 다를 수 있습니다! (아마두)

 

6) 이해도(9)

서비스, 마케팅, 각종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말합니다. 업무 지식,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입니다.

 

7) 디자인(7)

포토샵, 일러스트, 영상에 관한 내용도 디자인으로 포함했습니다. 이런 항목들이 우대 사항이라고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팅도 할 줄 아는데 디자인까지 할 줄 알면, 디자이너가 만들어준 콘텐츠에 실수가 있거나, 급하게 수정해야 할 정보 등을 고칠 수 있으니까요.

 

8) 콘텐츠(5)

콘텐츠 또한 퍼포먼스 마케터를 채용할 때 우대 사항 중 하나입니다. 데이터를 분석해서 콘텐츠를 가지고 마케팅을 진행하는데 콘텐츠를 만드는 감각이 있다면 직접 만들어서 바로 집행할 수 있으니까요. 물론 사람은 한 명이기 때문에 시간은 두 배가 든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퇴근 바이, 야근 하이)

 


 

| 대인관계

소통(5), 협업(4), 리더(3)

퍼포먼스 마케터, 퍼포먼스 마케팅, 구글 애널리틱스, 페이스북, 노션

 

1) 소통(5)

팀원 간의 소통 중요합니다. 우대 사항이 아니라 필수 조건이라고 생각합니다. 업무는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그렇지만 혼자 분석하고 콘텐츠 제작하고, 보고하고 다 할 줄 안다면, 실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대표님이 계신다면, 소통 능력은 우대 사항이 될 수도 있습니다.

 

2) 협업(4)

소통과 마찬가지로, 디자인, 콘텐츠, 분석, 다 할 수 있는 능력자라면 없어도 될 것 같지만 1인 기업도 최소 클라이언트와 협업하는 능력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3) 리더(3)

팀장님은 아마 이 글을 안 보실 텐데..

 


 

| 성과관리

업무처리(7), 문서(5)

 

1) 업무처리(7)

문제 해결력, 꼼꼼함, 업무 속도 등 업무 처리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어떤 직업이든 업무 처리를 잘하면 누구든 데려가기 때문에 굶어 죽지는 않습니다.

 

2) 문서(5)

MS Office, 엑셀, 한글 등 문서 도구 사용 능력을 말합니다.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함일 것 같습니다.

 


 

| 사업수행

글로벌(13)

퍼포먼스 마케터, 퍼포먼스 마케팅, 구글 애널리틱스, 페이스북, 노션

 

1) 글로벌(13)

주요 업무나 자격 요건과는 달리 우대 사항에는 글로벌에 관한 항목이 많았습니다. 주요 업무에는 아예 없고, 자격 조건에는 영어에 대해 4회 언급되었으나, 우대 사항에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를 포함해 글로벌에 관련 내용이 13회 언급되었습니다. 횟수가 많은 걸 보니 역시 영어를 할 줄 알면 기회가 많다는 생각이 또 드네요.

 


 

| 자기기반

분석(20), 능동적/주도적(9), 교육(2), 기타(2)

퍼포먼스 마케팅, 퍼포먼스 마케터, 구글 애널리틱스, 페이스북, 노션

 

1) 분석(20)

빠지지 않는 분석! 데이터 분석, 분석 도구 사용 경험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자격 요건, 주요 업무로 나타나도 어색하지 않을 항목들입니다.

 

2) 능동적/주도적(9)

자격 요건에서부터 빠지지 않는 항목입니다. 직무에 관계없이 중요한 태도 중 하나입니다.

 

3) 교육(2)

관련 학과 전공자와 퍼포먼스 마케팅 관련 교육 수료한 사람을 말합니다. 신입으로서는 경험하기 쉽지 않은 분야이니만큼 교육에 집중을 해야 하는데 해당 부분을 잘 건드려준 것 같습니다.

 

4) 기타(2)

기타가 가장 ‘우대 사항’ 같은 우대 사항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바로 반려동물을 키우거나 관심 있는 사람과 비흡연자입니다. 반려동물에 관한 마케팅을 진행하면서 집사나 XX 맘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마케팅도 쉽지 않겠죠. 아무리 데이터를 보고 얘기한다 해도 말이에요. 비흡연자의 경우는 역시 같은 팀에 흡연자가 없기 때문이 아닐까요? 비흡연자는 흡연자가 흡연하러 갈 때 커피타임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느낀점

펭수,펭짤,펭수짤,털썩

1) 주요 업무, 자격 조건, 우대 사항의 정의

저의 기준에서 가장 먼저 느낀 것은 우대 사항을 주요 업무나 자격 요건과 겹치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물론 채용 공고 내에서는 서로 다른 글자들과 의미들이 있지만 지금 제가 채용 공고들을 분석한 것처럼 모아서 보면 제 기준에서 자격 요건에 들어갈 내용이 우대 사항에 많이 들어있었죠. 제 기준에서 ‘우대 사항’이란 말은 자격 요건을 갖추고 난 뒤 ‘이런 사항도 갖추고 있다면 가산점을 주겠다’인데, 퍼포먼스 마케터가 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우대 사항에서 볼 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우대 사항의 항목을 예로 들자면 회사에서는 아직 실행하고 있지 않으나 이분을 모시면 실행하고 싶은 SQL, Python을 이용한 데이터 마케팅, 업계/산업 등의 전반적인 이해, 디자인 실력, 영상 편집 능력, 통계학 관련 학위 등 퍼포먼스 마케팅 또는 마케팅, 업계나 산업과 관련이 있는 능력들을 작성했다면 조금 더 완벽한 우대 사항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각 카테고리 별로만 분류해서 보았기 때문에 회사의 상황을 알 수 없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2) 우대 사항도 필수 조건?

회사 상황을 모르지만, 우대 사항에 적힌 항목이 제가 생각했을 때는 퍼포먼스 마케터의 자격 요건이지만 회사의 ‘우대 사항’이라면 저는 세 가지 생각이 들었습니다. 첫 번째, 전임자가 퍼포먼스 마케터의 기본 자질을 갖추지 못했을 경우, 두 번째, 우대 사항 전체가 입사 필수 조건인 경우. 세 번째 채용 공고를 작성한 사람이 퍼포먼스 마케팅에 대해 상세히 모를 경우.

첫 번째는 전임자가 데이터 분석 및 채널 운영 일련의 과정을 해내지 못하여 퍼포먼스 마케터가 마땅히 해야 할 업무를 ‘우대 사항’으로 내건 조건이죠. 전적으로 전임자의 잘못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전임자가 신입일 수도 있고, 아무것도 모르는 콘텐츠 마케터인데 그냥 업무를 떠맡았을 수도 있으니까요. 나쁜 상황이라기보다는 어쩔 수 없는 회사의 상황일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회사에서 내건 자격 요건을 포함해 우대 사항까지 모든 항목을 충족시켜야 채용할 경우입니다. 마케터로서의 상위 기술들이 들어가면 어렵지만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분, 엑셀을 잘 다루시는 분, 긍정적이고 주도적으로 업무를 진행하시는 분, 팀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신 분’이라는 4개의 조건이라면 우대 사항도 자격 요건과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합니다.

세 번째는 채용 공고를 작성한 사람이 퍼포먼스 마케팅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입니다. HR을 전문으로 한 인사팀이 없을 수도 있고, 퍼포먼스 마케팅에 대해 잘 모르지만, 마케팅을 해야 하긴 해야겠기에 대표님, 총무팀 등이 자기 상식선에서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른 회사의 채용 공고를 통해 어떤 퍼포먼스 마케터를 뽑아야 하는지 보면 이런 우대 사항을 작성할 수 없지 않나?’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제가 분석한 채용 공고의 우대 사항들을 보면 크게 다를 바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채용 공고를 작성한 사람의 잘못이 아니라 아직 ‘퍼포먼스 마케팅’에 대한 이론이나 지식 자체가 확립되지 않아서 이런 경우가 발생했다고 생각합니다.

 


 

| 목차

  1.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Intro
  2.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1주요 업무
  3.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2자격 요건
  4.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3 우대 사항(지금 이 글)

퍼포먼스 마케터 로 일을 잘하고 싶은 신입, 업계에 이름을 남기고 싶은 신입 등 열정적인 신입은 가끔 이런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지금 내가 일을 잘 하고 있는 것인가?’ 저는 앞서 말한 모든 예시에 속하는 열정적인 신입으로서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데이터 개요와 글의 목적이 자세히 궁금하신 분은 아랫글을 먼저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이 글은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 쓴 글입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아직 1, 2편을 읽지 않으셨다고요? 이 글은 3편입니다! 아래 Intro와 #1주요 업무 편을 읽어보세요!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Intro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1 주요 업무

 

펭수, 펭수짤, 펭하,

 


 

| RAW DATA 가공 방법

#1주요 업무를 작성하면서, 발행 후 읽으면서도, 사람들이 공유하는 걸 보면서도 스스로 데이터 분류가 체계적이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페이스북이나 구글 애즈의 광고 보고서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류해주기 때문에 이런 생각을 가져본 적이 없는데요. 채용 공고라는 RAW 데이터를 수집/가공하면서 ‘내가 나중에 다른 RAW 데이터를 분석할 때 이렇게 하면 분명히 나는 일 잘하는 마케터가 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각을 잡고 분류체계부터 정했습니다.

먼저 어떤 데이터가 들어왔는지 알 수 없어서 저만의 태그들을 붙여서 분류했습니다. 다 붙이고 명확하게 분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계속 읽어보니 취업 준비할 때 보던 역량들과 비슷하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태그한 것과 가장 비슷한 그리고 신뢰할 수 있을 만한 분류체계를 찾아보았더니 취업 컨설팅을 제공하는 HR 전문 기업 잡이룸에서 제공하는 역량 분류 체계와 흡사했습니다. 그 후 제가 임의로 태깅했던 키워드들은 잡이룸의 역량 체계에 맞게 재배치 되었고,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었습니다. 일치하지 않지만, 아래의 분류 정의와 아주 95% 이상 흡사한 분류 방식을 적용하였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채용 공고, 잡이룸
http://www.joberum.com/plan/dic/ability01.asp?pc=1

 


 

| SUMMARY

총 50개의 채용 공고 중 227개의 자격 조건이 수집되었습니다. 기업당 평균 4.54개의 조건을 작성했으며, 주요 업무(평균 4.4개)보다는 0.14개 많습니다. 중복 제거 후에는 204개가 남았고, 주요 업무(총 190개)보다는 14개 많습니다. 중복을 제거한 기준은 #1주요 업무 편과 마찬가지로 텍스트가 90% 이상 같은 것만 제거하였습니다. 회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조건의 경우 제외시켰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권), 캐피탈, 저축은행 등 여신서비스 기업 경력’, ‘(지원 회사명)에 관심이 많으신 분’, 반려견/반려묘 등을 키우시거나 좋아하시는 분’은 퍼포먼스 마케팅과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여 제외시켰습니다.

 

1) 전체 자격 조건

퍼포먼스 마케팅,마케팅, 자격조건, 우선업무

  • 채용 공고 : 50개
  • 전체 수집 : 227개
  • 중복 제거 : 204개
  • 평균 : 4.54개

 

2) 주요 키워드

퍼포먼스 마케팅, 마케터, 마케팅, 전환률, 자격조건, 우선업무

  • 키워드 수 : 16개
  • 총 사용 수 : 267개

 

 


 

| 공통기본

#경험(78) #도구(34) #이해도(19) #최적화(11) #디자인(1)

퍼포먼스 마케팅,마케팅, 마케터, 자격조건, 우선업무

 

1) 경험(78)

경험과 경력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이번 분류에서는 같은 취급을 하였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팅 특성 상 광고비를 집행하는 경험을 쉽게 해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신입/경력을 구분하지 않고 수집했기 때문에 ‘경력’이란 단어가 많이 나올 수 밖에 없는데요, 신입을 뽑더라도 아래 키워드에 나오는 ‘도구’를 사용해본 경험은 빠질 수 없습니다. 교육을 통해서라도 도구는 사용할 줄 알아야 업무가 가능하니까요. 또한 마케팅 경력은 있지만 가설 설정, 실험, 분석의 경험을 해보지 못했을 수도 있고요. 1편에서 말했다싶이 가설 설정, 실험, 분석은 퍼포먼스 마케팅의 주요 업무입니다. 경력이 없어서 신입인데 기업은 경력이 있는 신입을 뽑습니다. 제가 수집한 자료에서도 신입을 뽑는데 ‘퍼포먼스 마케팅 경험이 있으신 분’ 이라고 적혀있을 수도 있습니다.

신입이 퍼포먼스 마케팅을 경험할 수 있는 곳은 교육 시장 뿐입니다. 어떤 교육을 들으면 페이스북 광고를 직접 집행(교육비에 광고비가 포함)할 수 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런 교육은 몇십만 원이 넘는 금액이라 쉽게 들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통계학이나 데이터를 보는 눈을 기른 다음, 도구는 ‘온라인으로 강의를 듣고 직접 만들어보았다’, ‘쉽게 익힐 수 있다’ 등을 강조하여 일단 입사부터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경력직을 뽑을 때 묻기 좋은 질문들을 생각해보면.. ‘가설을 설정해서 분석하고 성과를 달성한 경험이 있는가?’, ‘어떤 가설이었고, 어떤 생각을 통해 결론에 다달았고, 어떤 결과를 얻었고, 어떻게 수정하여 KPI를 달성했는가?’ 라는 질문을 하면 직무에 관한 역량이 어느정도 잡힐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나는 대답할 있을까..)

 

2) 도구(34)

경험과 함께 가장 많이 등장한 단어는 도구입니다. 퍼포먼스 마케팅을 집행하는데 이용하는 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어야한다! 입니다. 가장 많이 등장한 도구로는 Facebook(FB), Google Analytics(GA)이며, 그 외로 등장한 도구들은 GTM, GDN, Google UAP, Instagram, Naver, Youtube, Kakao, Appsflyer 입니다. 퍼포먼스 마케터는 제가 알기론 광고비를 집행하지 않으면 광고를 해볼 수 없을겁니다. 본인의 적은 금액을 써서 광고해보는 것 보다 유료 교육 듣고 입사해서 회사에서 큰 금액으로 경험해보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GTM(Google Tag Manager) : 웹사이트 내에서 사용자의 이벤트(행동)를 정의하면 그 이벤트(행동)를 GA에서 잡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예를 들어 우리 웹사이트에서 ‘고객상담’ 버튼 클릭을 행동(이벤트)로 정의하면 GA에서 ‘고객상담’버튼을 몇 번 눌렀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GDN(Google Display Network) : 웹사이트에서 글자보다 많이 보이는 이미지 광고들

UAC(Universal App Campaign) : 구글에서 앱 마케팅을 할 때 쓰는 광고 도구 현재는 AC(App Campaign) 으로 변경되었습니다. (UAC 쓰는 사람 ㅅㄷㅊㅇ)

Appsflyer : 모바일 전용 트래킹 툴입니다. 모바일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비쌈)

GAIQ(Google Analytics Individual Qualification) : 구글 애널리틱스 인증 자격증입니다. 도구는 아니지만 GAIQ를 요구하는 회사도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자격증을 따두면 좋은점은 딱히 없는 것 같지만,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구글 애널리틱스에 대해 배울 수 있으므로 사회초년생, 신입, GA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에게는 추천할 만한 과정입니다. 시험 응시는 무료이며 온라인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상시 가능합니다. 아래 사이트를 참고해주세요.

  1. GAIQ 시험 응시 안내
  2. 초보자용 Google Analytics
  3. 고급 Google Analytics

 

3) 이해도(19)

펭수,펭수짤,펭짤,말해뭐해

이해도는 보통 산업, 트렌드, 디지털 마케팅에 관한 이해도가 나타났습니다. 셋다 필수로 이해도가 필요하죠. 산업별로 마케팅 콘텐츠나 주제, 톤앤매너가 달라져야합니다. 10대 여자를 대상으로 광고하는데 50대 아저씨들이 좋아하는 산이나 트로트를 컨셉으로 광고하면 반응이 없을테니까요. 트렌드는 마케터라면 모두 공감하죠. 펭수가 대세라면 펭수를 이용한 마케팅을 겨울왕국2가 대세라면 겨울왕국2를 패러디한 마케팅 등을 해야하고 반대로 일본 불매 운동이 일어난다면 일본이나 역사적 관점의 마케팅 등은 자제해야하는 것처럼 시대의 흐름을 읽을 수 있어야 합니다. 디지털 마케팅(말해 뭐해)

 

4) 최적화(11)

펭수, 펭수짤, 펭짤, 제대로합시다

최적화라는 단어는 채널 최적화입니다. SEO를 잘하는가, 페이스북 광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가, 성과를 얼마나 끌어올릴 것인가 등에 관한 내용입니다.

-> 매체 최적화를 통해 높은 광고 효율을 만들어와라.

 

5) 디자인(1)

인원이 많은 회사의 경우에는 디자인팀에게 요청을 해서 콘텐츠를 만들거나, 콘텐츠팀이 따로 있어 콘텐츠 팀, 디자인 팀, 퍼포먼스 팀이 협업하여 광고를 할 수 있지만, 회사가 작은 1인 기업인 경우에는 디자인도 콘텐츠도 퍼포먼스도 혼자서 해야합니다. 그럴 때를 대비해 포토샵 능력을 요구하는 회사가 있었지만 1개 밖에 없습니다.

 


 

| 대인관계

#소통(17) #협업(10) #보고(3)

퍼포먼스마케팅,마케팅,마케터

 

1) 소통(17)

어딜 가나 소통력은 중요한 역량 중에 하나입니다. 적극적인/탁월한/우수한/논리적인 이 함께 자주 사용되는 키워드이며, 대외적으로도 커뮤니케이션이 우수한 사람을 뽑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다양한 클라이언트/파트너’와 커뮤니케이션을 ‘두려워’하지 않고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 (여기에 대행사가 또ㅎ)

 

2) 협업(10)

소통과 가장 많이 붙어다니는 단어가 ‘협업’입니다. 업무는 혼자 하는 일이 아니기 때문에 소통과 협업이 동시에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별다른 조건은 없이 유관 부서, 타 부서와 협업이 가능한 사람을 뽑고 있습니다.

 

3) 보고(3)

펭수, 펭수짤, 펭짤, 이유는없어그냥해

보고는 퍼포먼스 마케터의 숙명이죠. 보고서 생성은 광고 관리자가 알아서 뽑아주지만 우리는 그 보고서를 굳이 또 ‘PPT’에, ‘예쁘게’, ‘옮길’,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필요하면 말로 설명도 해줘야 하기 때문에 ‘소통’능력은 여기서도 사용됩니다. (여기에 대행사가 또ㅎ)

 


 

| 성과관리

#문서(6) #책임감(3)

퍼포먼스마케팅,마케팅,마케터

 

1) 문서(6)

바로 위에서 설명했던 ‘보고’와 아주 연관이 깊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이미 광고 관리자가 뽑아주는 광고 보고서를 굳이 또 ‘PPT’ 또는 ‘엑셀’에 ‘예쁘게, ‘옮길’ 수 있는 능력이 있거든요. 설명은 덤입니다.

 

2) 책임감(3)

최근 MZ세대에 관해 대화를 나누면서 ‘Z세대들은 책임감이 덜하다’라는 소문을 들었습니다. 이것은 사람의 차이이고, 근원지의 좁은 경험치로 인한 오해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책임감을 갖고 계시죠? 요즘 꼰대들은 월급은 많이 받으면서 책임은 지려하지 않는단 소문이 들리던데 마찬가지로 사람의 차이였으면 좋겠습니다.

 


 

| 사업수행

#전략적 사고(16) #영어(4)

퍼포먼스마케팅,마케터,마케팅

 

1) 전략적 사고(16)

퍼포먼스 마케터를 채용할 때 많이 사용하는 단어중 하나입니다. 전략적 사고라는 것은 논리력/분석력/데이터를 기반한/합리적인 이라는 단어와 함께 많이 사용됩니다. 수집한 데이터를 근거로 사고하고 그 사고를 바탕으로 마케팅을 펼쳐라하는 말이 되겠습니다. 데이터의 기반한 의사결정도 자주 나타나고 있습니다.

 

2) 영어(4)

한국인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진행한다면 영어가 꼭 필요하진 않지만 퍼포먼스 마케팅의 영역 자체가 외국 기반이라 도구를 잘 다룰 수 있는 방법이나 최적화하는 방법 등 깊이있는 글들은 영어로 적힌 경우가 많습니다. 영어를 할 수 있으면 조금 빨리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에겐 구글 자동 번역과 파파고가 있으니 걱정하지 마세요. *영어로 대화를 하며 업무를 진행해야하는 회사는 지켜주지 못해 미안합니다.

 


 

| 자기기반 퍼포먼스 마케터

#분석력(26) #진취성(23) #능동적/주도적(11) #꼼꼼(5)

퍼포먼스마케팅, 마케팅,마케터

 

1) 분석력(26)

퍼포먼스 마케터의 밥벌이 분석력입니다. 분석력이 없으면 퍼포먼스 마케터는 센스있다는 말을 듣지 못합니다. 분석력을 통해 우리의 연봉이 결정되거든요. 분석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자주 들여다보는 것은 기본이고, 산업, 업계 동향, 트렌드를 파악하고 있으면서, 그외 사회, 문화적인 내용 등 배경지식이 많이 필요합니다. 지식이 많아야 많이 보인다는 말이죠. 배경지식이 많아도 숫자의 흐름을 보고 분석할 수가 없다면 데이터 분석의 길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저는 전혀 다른 데이터라도 이런 데이터에서는 이런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구나를 보고 데이터를 본적도 있습니다. 신입일 경우에는 같은 데이터를 보고 다른 사람들이 어떤 통찰력을 얻었는지, 비슷한 사례는 무엇이 있는지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2) 진취성(23)

배움/열정/전문가/포용력/학습능력/개인의 성장과 회사의 성장을 일치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분 이런 말들과 함께 사용되고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성장이라는 단어를 아주 좋아합니다. 그렇지만 뭔가 자격 조건에 적힌 성장들은 ‘우리는 해줄 수 있는게 이것 밖에 없으니 니가 열심히 성장해’라거나 ‘열정페이를 줄테니 니가 성장해 우리가 입사는 시켜줄게’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어떤 회사인지 절대 알 수 없는 구조에서 데이터만 보고 느꼈기 때문에 조금 더 신기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성장은 좋은 단어이지만 이 성장에 대한 욕구가 ‘자격 조건’에 들어갈 필요가 있었을까? 면접 때 물어봐도 충분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마케팅 트렌드를 상시로 찾거나 데이터 다루는 것을 좋아하는 것, 학습 능력, 습득력 등이 빠른 것을 요구합니다. 스타트업은 일당백의 일을 쳐내야 하기 때문에 완전 초창기 회사일 경우에는 신입을 잘 뽑지도 않을 뿐더러 뽑더라도 일 잘하고 똑똑하면 빠르게 성장하고, 회사에 큰 보탬이 될 수 있으니까요. 배움에 대한 의지! 욕망! 성장에 대한 열망! 열정!(금기어) 가 있으면 가선점을 받을 수 있을지도… 왜 이 단어에는 부정적인 느낌이 드는지 모르겠습니다.

 

3) 능동적/주도적(11)

자유로운 환경을 제공하고 주도적으로 업무를 하라는 회사는 신입에게는 그렇게 좋지 않습니다. 어떤 일을 해야할지 모르기 때문이죠. 실력에 자신이 있는 경력직이라면 이런 환경이 자신의 역량을 펼칠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우리가 해줄 건 없고 너 알아서 해라는 뜻일 수도 있습니다. 본인이 스스로 없던 일도 찾아서 하는 사람인지, 주어진 일을 잘 처리해내는 사람인지 성향 파악이 필수입니다.

 

4) 꼼꼼(5)

데이터, 숫자를 다루는 사람은 꼼꼼할 수록 좋습니다. 숫자라는게 착시효과와 같아서 같은 자리수의 숫자를 계속 보고, 1~9라는 숫자를 자주 쳐다보고 있으면 한자리가 사라지거나 위의 숫자와 아래 숫자로 보이거나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두번 세번 확인하고, 다른 사람에게도 두번 세번 확인 받거나 미리 끝내놓고 몇 시간 뒤에 다시 확인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꼼꼼함을 기르도록 합시다. (예산 집행할 때 하루에 5만원 해야하는데 50만 원씩 집행하는 경우가 남일 같지 않을 때 신입 딱지를 땔 수 있습니다.)

 


 

| 키워드 분석 후 느낀점

 

1) 자격 조건 3가지 키워드 #경험 #도구 #분석력

퍼포먼스 마케터의 자격 조건에서 3가지 키워드는 경험, 도구, 분석력 입니다. 경험은 경력이 많이 들어있기 때문에 추가하고 싶지 않았으나, 도구를 사용해본 경험, 데이터를 분석해본 경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케팅을 진행해본 경험도 경험의 일부이기 때문에 추가했습니다. 도구는 퍼포먼스 마케터의 필수! 도구를 사용하지 못한다면 업무를 할 수 없기 때문이죠. 도구에 관해서는 보고서를 데이터 스튜디오로 자동화시키는 법을 익히는 걸 추천해드립니다. 저는 데이터 스튜디오로 보고서를 뽑아서 사용하기 때문에 디자인 작업을 따로 하지 않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나중에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분석력은 역시 퍼포먼스 마케터에게 뺄 수 없는 단어죠.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분석력은 충분히 다른 데이터를 통해 기를 수 있으니 신입이시라면 분석력만 기르셔도 나중에 큰 도움이 되실거라고 생각합니다.

 

2) 자격 조건을 얻는 법

역시 교육을 듣는 수 밖에 없습니다. 교육을 이수하는 것도 직업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교육을 통해 도구를 다뤄볼 수 있습니다. 분석력 또한 마찬가지죠. 현재 퍼포먼스 마케팅을 공부할 수 있는 사이트를 정리중입니다. 간단하게는 패스트 캠퍼스, 에드위드, 유튜브 등을 통해 들을 수 있습니다.

 

3) 자격 조건을 마무리 하며 _ 전임자에게 부족하거나 과했던 능력을 자격 조건으로 작성한 느낌

몇개의 자격조건은 감정을 실은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예를 들어 ‘자존감은 높지만 ego가 높지 않은 분’, ‘본인의 성과에만 집착하지 않는 팀플레이어’은 기존에 남아 있으신 분들이 회사를 떠난 사람에 대한 반항이랄까?

자존감이 낮은데 ego가 높다는 건 고집이 세다는 뜻으로 받아들였습니다. 데이터에 기반한 소통을 하면 됩니다. 데이터에 기반한 소통이라는 것도 데이터를 분석해서 통찰을 뽑아낼 수 있어야 가능하다고 생각이 드는데, 신입들은 그게 쉽지 않으니 일단은 분석력부터 길러야 합니다.

본인의 성과에만 집착하지 않는 팀플레이어는 팀의 성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터는 성과가 명확히 숫자로 나타나는 직업이기 때문에 성과를 측정한다면 철저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업무는 혼자하는 것이기 아니기 때문에 본인의 성과에만 집착을 한다면 협업을 하는 팀원들은 보기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예상’ 목차

  1.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Intro
  2.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1 주요 업무
  3.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2 자격 요건(지금 이 글)
  4.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3 우대 사항

퍼포먼스 마케터 로 일을 잘하고 싶은 신입, 업계에 이름을 남기고 싶은 신입 등 열정적인 신입은 가끔 이런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지금 내가 일을 잘 하고 있는 것인가?’ 저는 앞서 말한 모든 예시에 속하는 열정적인 신입으로서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데이터 개요와 글의 목적이 자세히 궁금하신 분은 아랫글을 먼저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이 글은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 쓴 글입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Intro

펭수, 펭수짤, 펭하,

 


 

| SUMMARY 퍼포먼스 마케터

한 개의 채용공고 당 최소 2개에서 8개(제 기억상)의 주요 업무를 보았습니다. 50개의 채용 공고 중 221개의 주요 업무가 수집되어 기업당 평균 4.4개의 주요 업무를 작성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중복을 제거 후에는 190개 남았습니다. 중복을 제거한 기준은 어디서 복사해서 붙여넣은 것 같은 내용과, 같은 회사임에도 불구하고 채용 공고에 따라 1개의 워드가 달라져 있는 것 등 글자 자체가 90% 이상 유사한 것을 제거하였습니다.

 

1) 전체 업무

퍼포먼스 마케터, 노션

 

 

  • 채용 공고 : 50개
  • 전체 수집 : 221개
  • 중복 제거 : 188개
  • 평균 : 4.4개

 

2) 주요 키워드

퍼포먼스 마케터

  • 키워드 수 : 14개
  • 총 사용 수 : 317개

 

3) 기타 키워드

퍼포먼스 마케터

  • 키워드 수 : 13개
  • 총 사용 수 : 412개

 


 

| 주요 키워드 분석

키워드

주요 키워드를 태깅한 기준은 ‘행위‘에 해당하는 단어입니다. ‘주요 업무’라는 단어는 마케터가 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마케터의 업무 = 행위라고 생각하여 키워드를 수집했습니다. 게다가 용어 정리를 위해 운영, 관리라는 단어는 업무 내용이 대부분 비슷하여 같은 단어로 취급했고, 업무 내용이 주요 키워드와 글자는 다르지만 같은 내용이라면 해당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 B2C 사용자 대상의 퍼포먼스 마케팅’이라는 내용이 업무로 있을 때는 ‘운영’이라는 단어를 선택했습니다.

키워드별 정의나 내용이 교집합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사람들이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하고, 업무 자체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각 키워드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죠.

 

1) 운영

퍼포먼스 마케팅의 핵심인 운영입니다. 전략 수립(기획) → 집행 → 분석 → 피드백 → 전략 수정 → 집행 → 분석 → 피드백의 과정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이 수립부터 피드백까지 일련의 과정을 운영이라고 하죠. 운영은 퍼포먼스 마케팅의 전부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아래에 있는 키워드들은 모두 이 운영을 꾸며주는 느낌이랄까.

운영의 4단계 ‘수립 → 집행 → 분석 → 피드백’을 할 줄 아는 사람이 운영을 할 줄 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전략 수립은 곧 ‘가설을 설정한다’라고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르게 말하면 가설 설정 → 가설 검증 → 피드백의 과정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 요가복을 구매할 사람들은 요가뿐만 아니라 체형 교정에도 관심이 있을 거야. 체형교정은 요가가 좋다는 메시지를 보내보자’라는 가설을 세우고(가설 설정) 정보 스토리 텔링형, 요가복을 입은 모델형, 요가를 가르쳐주고 있는 영상형 등 광고 소재를 다양하게 만들고 집행합니다. (가설 검증). 광고 성과를 보며 스토리 텔링형을 통해 판매가 늘었으니 비슷한 유형의 소재를 더 제작하고, 영상형은 도달은 높았으나 클릭률은 높지 않은 걸 보아 영상이 매력적이지 않았나보다, 다른 영상을 제작해보자라며 피드백을 주고, 다시 가설을 설정하는 과정입니다.

주요 키워드들은 대부분 운영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운영이 퍼포먼스 마케팅의 전부라고 봐도 무방하다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니란 건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죠.

 

2) 분석

두 번째 주요 키워드는 분석입니다. 이 단어는 운영과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습니다. 운영 속에 분석이 포함되거든요. 광고 집행 결과, 즉 매체들이 보여주는 보고서를 보고 인사이트를 뽑아내는 일입니다, 웹사이트에 사람들이 들어오는 횟수(트래픽), 앱 내부 트래픽, 판매 데이터, 행동 데이터 등 데이터를 보고 유의미한 결과를 찾아내는 과정이죠. 예를 들어 우리 회사는 맛집을 추천해주는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실적을 보고 있는데 ‘평일 오전 11시 30분에 클릭률이 소폭 상승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또는 ‘토요일 오후 4시에 웹사이트의 트래픽이 올라가는 모습’과 같은 데이터의 이상 ‘현상’, 또는 일련의 데이터들 속에서 특정 현상을 뽑아내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최적화

최적화는 광고 효율을 높이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1%의 클릭률을 보인다면 2%의 클릭률을 얻기 위해, 월 100만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면 월 200만 원의 매출을 올리기 위해 전략을 수정하는 일련의 과정이죠. 이 속에는 가설, 타겟, 광고 소재, 집행 채널 변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합니다. 목표는 항상 우상향 그래프이지만 인구는 한정되어 있고, 광고는 지루해지기에 십상이니 항상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지는 않습니다. 들쭉날쭉하죠. 그런데도 조금씩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도록 하는 것이 최적화입니다.

 

4) 기획

34번이나 쓰인 기획이라는 단어는 전략/광고/마케팅/소재(콘텐츠)/프로모션/캠페인/이벤트라는 단어들과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렇게 단어만 놓고 보면 콘텐츠 마케터와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물론 퍼포먼스 마케터가 프로모션, 캠페인, 이벤트도 기획할 수 있습니다. ‘기획’이라는 단어 자체가 마케터뿐만 아니라 전 직군에서 필요한 역량이라 더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터로서의 기획은 전략 기획과 소재 기획 쪽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략은 아래에서 얘기할 내용이고, 소재는 광고를 얘기합니다. 글, 이미지, 영상, 인터랙션, 캔버스 등 광고 형태를 기획하고, 내용을 기획하기도 합니다.

 

5) 수립

수립하다는 사전적 정의로 ‘계획을 이룩하여 세우다’라고 합니다. 주요 키워드에 ‘전략’이라는 단어가 없는 이유는 ‘수립하다’라는 것이 행위이기 때문이죠. 수립하다는 단어에서 90% 이상 같이 사용된 단어가 ‘전략’입니다. 운영의 4단계에 있는 전략 수립 또는 전략 기획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어떤 가설을 세울지, 어떤 채널을 어떤 소재로, 어떤 컨셉으로, 얼마의 예산을 투입하여 광고 효과를 볼 것인지 미리 기획해보는 능력입니다. 전략 수립 능력은 경험과 실력뿐이라고 생각합니다. 특정 제품을 판매할 때 어떤 채널이 잘 어울리고, 어떤 컨셉과 어떤 주제로 소재를 만들고 어느 정도의 예산을 집행해야 할 지는 경험이 필요하고, 소재를 만들어내는 능력, 효율에 따라 전략을 수정하는 능력은 실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6) 집행

퍼포먼스 마케터에게 집행은 숨쉬기입니다. 광고를 만들어서 게시하는 능력이거든요. 페이스북 광고를 게시하거나, 카카오모먼트 광고를 집행하거나, 구글 키워드 광고를 승인하는 등 광고를 게시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당연히 주요 업무이긴 하지만 채용 공고 속 ‘주요 업무’란에 들어가기에는 조금 어색하다고 느껴집니다. 숨 쉬는 것까지 업무로 친다면… 으흠… 그냥 버튼만 누르면 되는 집행은 1시간만 배우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7) 실험

펭수, 펭수짤, 펭짤, 제대로합시다

퍼포먼스 마케터의 영원한 과제 실험입니다. 운영이나 분석, 최적화에도 항상 등장한 가설 검증과 같은 내용입니다. 효과가 좋은 광고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실험하고 결과를 분석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실험이 곧 퍼포먼스 마케터죠. 예를 들면 A, B 광고가 있고, 목표가 매출이라고 했을 때, A 광고는 광고비 10만 원을 투입해서 30만 원 가량 판매했지만, B 광고는 10만 원 투입해서 3만 원 가량 판매했으면 A 광고는 광고비를 20만 원 추가 투입하고, B 광고는 삭제해버리거나 업데이트를 한다는 실험입니다. 에이전시나 대행사라면 과학 시간에 작성한 실험보고서와 같은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실 테고, 인하우스라면 실험보고서까진 아니겠지만 각 실험 또는 광고의 결과에 대한 인사이트를 정리해두는 연습이 꼭 필요합니다.

 

8) 성과

성과는 지표/ROI/ROAS/KPI라는 단어와 많이 사용됐습니다. 결국 목표를 달성했냐 안 했냐 이걸 바라보는 거죠.

ROI(Return on Investment) 투자 대비 수익률, 투자한 것에 비해 얼마나 많은 이익을 얻었나 입니다. 광고비만을 얘기할 수도 있지만, 인력이나 시간을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성과를 관리한다’라고 많이 사용되는데, 개별, 팀별, 회사별 성과가 정해져 있고, 일/주/월/분기/반년 등으로 KPI를 설정합니다. 성과를 달성하면 자신의 연봉이 오르는 달콤한 것이죠. 반대는.. ㅎ 성과를 설정하고 나면 본인은 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열심히 달려야 합니다. 올해 목표는 100만 개를 파는 것이다! 라고 회사 성과를 정하면 이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전략을 세우고, 그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고 실험하고.. 같은 일이 반복됩니다.

*ROAS와 KPI는 아래 기타 키워드에서 설명하겠습니다.

 

9) 소통

아홉 번째로 많이 사용된 단어는 소통이며 커뮤니케이션도 소통으로 태깅했습니다. 기획과 마찬가지로 어딜 가나 가장 중요한 단어죠. 1인 기업을 하더라도 클라이언트의 개떡 같은 말을 찰떡같이 알아듣고, 개떡 같은 결과를 찰떡같이 포장해서 말하는 소통 능력이 필요합니다. 회사 생활을 한다면 당연한 말이지만 다른 팀원과 소통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디자인을 요청한다고 해도, 개발자에게 픽셀을 심어달라고 요청해도 모두 소통 능력이 필요해서 사회생활에 가장 필수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10) 발굴

발굴은 신규 채널을 발굴한다는 의미로 사용됐습니다. 보통 퍼포먼스 마케터가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채널은 대부분 비슷합니다. 페이스북, 구글, 네이버, 카카오에서 대부분 맴돌게 되어있습니다. 기술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곳이 몇 없기 때문이죠. 조금 추가하자면 블라인드, 토스 등 각종 스타트업의 광고 상품이 있습니다. 그런 신규 채널을 찾아오는 일이 퍼포먼스 마케터의 업무이긴 하지만 대부분 회사 제품의 인구통계학적 타겟은 정해져 있고, 그 타겟들이 이용하는 채널들은 다 비슷비슷합니다. 그로 인해 신규 채널에서 광고해도 큰 효과를 볼 수 없는 게 대부분입니다. (항상 예외는 존재합니다) 그로 인해 대부분 정해진 채널들 사이에서 광고를 집행하지만, 발굴도 업무라면 업무입니다. (다만 ‘주요 업무’에 넣기에는 조금 아쉽다 정도…?)

 

11) 보고

펭수, 펭수짤, 펭짤, 이유는없어그냥해

이 보고라는 단어가 참 재밌는데 퍼포먼스 마케터는 보고 또는 공유라는 단어가 생활화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퍼포먼스 마케터는 데이터(숫자)로 업무를 하는데 동료, 상사, 대표님도 마케팅 데이터에는 익숙하지 않은 분들이 많으시기 때문이죠. 대표님이 데이터에 익숙하시다고 해도 워낙 일이 많으시니, 결국 마케터가 만든 간단한 보고를 들으셔야 합니다. 그래서 보고나 공유 또한 마케터가 항상 갖고 있는 업무이기도 합니다. 마케터의 또 다른 숙제는 바로 보고서를 자동화시키는 것입니다. 저도 매주 보고서를 만들어야 하는 입장이라 정말 귀찮은 일이 아닐 수 없어서 열심히 찾아보다가 저는 데이터 스튜디오라는 해결책을 찾았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데이터 스튜디오 사용법도 써보겠습니다.

 

12) 제작

간단하게 광고 제작하는 역량입니다. 소재 또는 크리에이티브라고 불리는 광고를 제작하는 역량이죠. 작은 회사인 경우 퍼포먼스 마케터가 소재를 제작하고, 실험하고 피드백하고 다 하지만, 큰 회사인 경우엔 퍼포먼스 마케터와 디자이너, 콘텐츠 마케터가 따로 있어서 협업하게 됩니다. 퍼포먼스 마케터가 데이터와 가설을 가지고 오면 그 가설을 토대로 콘텐츠 마케터와 디자이너가 협업해 새로운 소재를 만들어내죠. 영상팀도 붙어 영상 광고를 제작할 수도 있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터가 운영만 잘하면 되는 줄 아셨다면 오산입니다. 집행 속에는 광고를 제작하는 능력도 포함이고, 그 제작에는 디자인이나 영상 촬영, 편집 기술이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마케터는 만능이어야 한답니다. 후후

 

13) 수집

데이터 수집을 말합니다. 데이터를 다루는 퍼포먼스 마케터에게 데이터 수집이란 마실 물을 찾는 것과 같죠. 데이터가 없다면 퍼포먼스 마케터도 없어도 되는 수준입니다. 데이터 수집은 주요 업무에 없더라도 필수 업무입니다.

 

14) 조사

딱 2번 사용된 조사는 시장 조사입니다. 퍼포먼스 마케터뿐만 아니라 마케터라면 시장 조사, 리서치 능력도 필요합니다.

 


 

| 기타 키워드 분석

etc, 기타

기타 키워드를 태깅한 기준은 위 주요 키워드 외에 많이 사용된 단어를 뽑아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는 역시 마케팅이라는 단어였고, 광고나 데이터, 채널, 매체라는 단어도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대부분이 퍼포먼스 마케터로 살아오며 많이 들었던 단어들임에는 분명합니다.

 

1) 마케팅

펭수,펭수짤,펭짤,말해뭐해

앞으로는 온라인, 협력, 데이터, lead 뒤로는 전략, 채널, kpi 등 다양한 단어들과 함께 사용됐습니다. (말해 뭐해)

 

2) 광고

펭수,펭수짤,펭짤,말해뭐해

마케팅 단어와 같습니다. (말해 뭐해22)

 

3) 데이터

퍼포먼스 마케터의 필수 단어 데이터입니다. 수집/분석/마케팅/정리/기반이라는 단어와 함께 사용됐으며 퍼포먼스 마케팅에서 없어선 안될 개념입니다.

 

4) 채널/매체/미디어

각 회사나 업계, 사람에 따라 다르게 부르지만 결국 같은 얘기입니다. 페이스북, 구글 애즈, 네이버 키워드, 카카오모먼트 등 광고 도구를 말합니다. 채널 믹스, 미디어 믹스라는 단어는 페이스북과 구글 애즈 카카오모먼트 등 채널을 적절히 섞어 광고를 집행한다는 말입니다. 예산이 100만 원이 있으면, 페이스북은 바이럴이 좋으니까 50%, 구글 애즈는 전환율이 좋으니까 30%, 카카오모먼트는 노출이 높으니까 20% 라는 식으로 여러 채널을 동시에 광고를 집행하는 의미입니다.

관련 단어로 OSMU(One Source Multi Use)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하나의 광고 소재나 이미지를 만들어 여러 채널에 활용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채널별로 이용자의 행태나 트렌드가 모두 다르므로 OSMU보다는 MSMU(Multi Source Multi Use)라는 개념을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5) 캠페인

광고 프로젝트를 말합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방대하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대화의 흐름에 따라 파악해야 합니다. 보통 디지털 마케팅에서는 ‘광고 목적’을 선택하는 가장 큰 단위의 폴더와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6) 퍼포먼스

펭수, 펭짤, 펭수짤, 완벽합니다.

성과! 성과!! 성과!!!

 

7) 콘텐츠/컨텐츠/소재/크리에이티브

퍼포먼스 마케팅에서 실험 대상을 말합니다. 채용 공고에서도 보셨다시피 사람에 따라 부르는 단어가 다릅니다. 콘텐츠, 컨텐츠, 소재, 크리에이티브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지만 결국 ‘광고’라는 하나의 개념을 나타냅니다. 퍼포먼스 마케터는 이 소재를 실험하고 검증하여 효율을 높이는 일을 하게 됩니다. 글, 이미지, 카드 뉴스, 영상, 캔버스 등 다양한 형태로 광고 소재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8) 페이스북/facebook/fb

페이스북 광고입니다. 인스타그램을 포함하고 있고, 퍼포먼스 마케터로 가는 첫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터가 페이스북 광고를 제일 먼저 배우는 이유는 가장 기본적인 디지털 마케팅이고, 쉽고 다양한 곳에서 배울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실험과 검증의 영역으로 가면 경력이 필요하고 어렵지만 초보가 광고를 집행하고, 실험하는데 페이스북 만큼 편리한 곳은 찾기 어렵습니다.

페이스북 광고 효율이 많이 떨어졌다고들 하는데 디지털 마케팅이 처음 나왔을 때는 사람들이 모르니까 당연히 효과가 좋을 수밖에 없습니다. 효과가 좋지 않다고만 할 게 아니라 더 효과가 좋은 디지털 매체를 찾아 나서야 할 때입니다. 한창 유행했던 토스의 실검 광고처럼 말이죠. (현재는 논란의 중심)

 

9) GA/Google/GDN/GTM

퍼포먼스 마케터로 가는 두 번째 단계 구글입니다. 구글은 광고 상품과 엮어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들이 아주 다양합니다. 가장 먼저 다룰 줄 알아야 하는 제품은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입니다. 소규모 웹페이지에서는 구글 애널리틱스가 가져다주는 정보와 보고서만으로도 대부분 디지털 마케터로서의 데이터를 뽑을 수 있고 아주 강력한 마케팅용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웹페이지를 구글 애널리틱스에 연결해두면 잠재고객부터 실시간 고객, 어떤 사이트에서 흘러들어왔는지, 어떤 기기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인지 어떤 국가, 몇 시에 들어왔는지까지 방대하다시피 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만 잘 다룰 줄 알아도 퍼포먼스 마케터로는 살아가는 데 문제가 없을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아래 구글 관련 도구들을 함께 할 줄 알아야 하긴 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외에도 퍼포먼스 마케터가 다룰 줄 알면 좋은 구글 자매품으로는

등이 있습니다.

 

10) 효율

최적화와 일맥상통한 단어입니다. 극대화라는 단어와 함께 자주 사용됩니다.

 

11) KPI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라고 부르는데, 간단하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숫자입니다. 보통 ‘KPI가 뭐야’라고 묻는 건 ‘어떤 지표(클릭률, 판매량, 조회 수, 전환 수 등)를 어떤 수치(10% 향상, 전년 대비 200% 향상, 10만 조회 수, 1,000 전환 수 등)로 달성하고 싶어?’를 얘기합니다. 이 퍼포먼스 마케터가 되면, 아니 직장인이 되면 아주 지겹도록 들을 단어입니다. ‘KPI 맞춰야지’, ‘KPI 달성해야지’ 등 노이로제에 걸릴 정도로 듣지만 미리 익숙해져 두는 게 좋습니다.

 

12) ROAS

ROAS(Return On Ads Spending) 광고비 대비 수익률. 광고비 투자한 금액 대비 얻은 수익입니다. 소비재(일반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제품)를 판매하는 기업은 중요한 지표 중 하나죠. 화장품, 휴지, 물티슈 등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이 쉽게 구매하는 제품을 소비재라고 하며, 이 소비재를 판매할 때 광고비 지출당 얼마를 팔았는지 파악하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ROAS가 200%라고 하면 100만 원의 광고비를 지출해서 200만 원의 제품을 판매했다고 말합니다.

 

13) 세팅

디지털 마케팅 특성상 기본적으로 ‘세팅’이 되어야 합니다. 페이스북은 픽셀을 설치하고, 구글 애널리틱스는 추적 코드를 심고, 웹사이트를 구글에 등록하는 과정이죠. 기본적인 세팅/셋업/설정/설치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업무를 시작할 수 없으니까요. 만약 퍼포먼스 마케터로 입사하셨는데 세팅이 되어있지 않는다면 이 작업부터 하셔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이 작업을 해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간이 필요해서 수집하는 동안에는 전략을 세울 수 있기도 했습니다. 다만 세팅이라는 업무는 한번 해두면 더는 건드릴 일이 별로 없기 때문에 ‘주요 업무’에 들어가기에는 아쉽다는 느낌입니다.

 


 

| 키워드 분석 후 느낀점

펭수,펭짤,펭수짤,털썩

 

1) 퍼포먼스 마케터 핵심 3가지 키워드 #데이터 #운영 #KPI

주요 키워드와 기타 키워드를 분석해보고 난 뒤에 퍼포먼스 마케터에게 중요한 단어 딱 3개를 꼽으라고 한다면 데이터, 운영, KPI 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데이터가 있어야 운영을 하고, 운영을 통해 나온 결과는 KPI이기 때문입니다.

 

2) 퍼포먼스 마케터가 일을 잘하는 법

어떻게 하면 운영과 최적화를 잘 할 수 있나요? 어떻게 하면 일 잘하는 퍼포먼스 마케터가 될 수 있나요? “삽질하세요.” 라고들 많이 얘기합니다.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저는 삽질만 하는 게 아니라 ‘기록’을 하라고 합니다. 삽질만 해서는 경험치가 쌓일 수 있지만 더는 발전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른 매체나 도구를 이용하면 새로운 자세로 다시 삽질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삽질을 통해 얻은 경험을 기록해두면 성장에 큰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3) 퍼포먼스 마케터 가 갖춰야 할 소양 #실험 #성장 #우상향

퍼포먼스 마케터를 뽑을 때 봐야 할 소양은 개인적으로 ‘실험을 통한 성장’이라고 생각합니다. 퍼포먼스는 항상 들쭉날쭉 합니다. 그런데도 크게 봤을 때 계속 들쭉날쭉하는 그래프가 있고, 들쭉날쭉하지만 결국엔 꾸준히 우상향 곡선을 그리는 그래프가 있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팅은 ‘최적의 상태’와 ‘최고의 효율’을 찾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실험을 통해 우상향 그래프를 그려본 사람만이 진짜 퍼포먼스 마케터의 길을 걷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4) ‘주요 업무’를 작성함에 대해 느낀점

총 50개의 채용 공고를 분석하고 난 뒤 퍼포먼스 마케터의 핵심 업무는 ‘KPI 달성을 위한 마케팅 채널 운영’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요 키워드에서 설명한 것처럼 주요 키워드들은 교집합을 이루고 있습니다. 운영이라는 것 안에 전략 수립, 가설 설정, 집행, 피드백 등이 모두 들어있기도 하고, 해당 업무를 하기 위한 또 다른 업무들이 도출되기도 하죠.

 

 


 

| ‘예상’ 목차

  1.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Intro
  2.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1 주요 업무(지금 이 글)
  3.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2 자격 요건
  4.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3 우대 사항
    • 데이터 수집은 완료했으나 글의 분량 조절이 실패할 수 있음

저는 퍼포먼스 마케터 입니다.(드디어 말할 있다.) 콘텐츠 마케터로 입사했지만 데이터를 통한 광고에 매력을 느껴 회사에 입장을 표명(?)했고, 회사의 자비로운 배려로 가랑비에 젖듯 자연스럽게 퍼포먼스 마케터의 일을 하게 되었죠. 페이스북 광고(FB ads),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 통한 고객 데이터 분석, 구글 애즈(Google Ads), 네이버 키워드 광고(Naver SA), 카카오모먼트(Kakao Moment) 광고 2019 상반기까지만 해도 퍼포먼스 마케팅을 막연히 하고 싶어만 하고 감도 못잡던 제가 드디어 입구에 발을 디뎠습니다.(~)

 

펭수, 펭수짤, 펭하,


 

입구에서부터 고민이 생겼어요. 내가 가는 길이🎶 어디로 가는 어디로 데려가는 🎶 곳은 어딘지🎶 없게 것이죠. 지금 제가 잘하고 있는 건지 의문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1. 페이스북 광고는 집행하고 운영하고 지표도 보고 있어요. 그런데 잘하고 있는건가요?
  2. 구글 애널리틱스는 매일 들어가서 보고 있어요. 그런데 잘하고 있는건가요?
  3. 구글 애즈, 네이버 키워드, 카카오 모먼트 매일 들어가서 보고서를 보고 있어요. 그런데 잘하고 있는건가요?

라는 의문이 계속 맴돌았습니다. 제가 공부한 퍼포먼스 마케팅이라는 것은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랑은 조금 다르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고요.

그래서 제가 하고 있는 일과, 제가 해야할 , 나아가야 방향에 대해 정리해보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럼 어떻게 정리하면 될까? 그러다 문득 주변에 이직에 관한 소식이 많이 들려오며회사 생각하는 퍼포먼스 마케터는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궁금해졌어요. 그래서 저는 채용 공고를 기반으로 퍼포먼스 마케터가 하는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 예상 독자

  1. 퍼포먼스 마케터가 무엇인지 어떤 일을 하는지 궁금한 대학생
  2. 퍼포먼스 마케터를 하고 싶은 취업준비생, 직무 전환 요구자
  3. 퍼포먼스 마케팅을 떠맡아야 하는 신입 직급별 개미
  4. 다른 회사는 어떤 기준으로 퍼포먼스 마케터를 뽑는 궁금한 인사권 가진 높으신
  5. 퍼포먼스 마케터, 에이전시(대행사, 랩사) 소통 해야하는데 무엇을 알아야할 궁금한 담당자

 

미리 말씀드리자면 2019 11 기준 2 마케터입니다. 본격적으로 퍼포먼스 마케팅 도구들을 만져보기 시작한 것은 2019 5월이죠. 글쓰는 시점 기준으로 6개월 밖에 안됐습니다. 아직 제대로된 퍼포먼스 마케터가 아니란 뜻을 돌려 말하는 중이죠

 


 

제가 알고 있는 퍼포먼스 마케팅에 대한 내용을 잠깐 보여드려고 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게 맞는지 정리도 해볼겸, 남들의 의견도 들어볼 겸입니다. 또한, 퍼포먼스 마케터가 무엇인지 모르는 분들이 계실 있으니까요. 제각 생각하는 퍼포먼스 마케팅은 아래와 같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팅

  1. 디지털화 되며 인간 생활에 대한 데이터 수집이 쉽게 가능해지자 이를 활용해 광고하는 행위
    (이건 마음대로 정의한 )
  2. 너의 삶을 편하게라는 미끼로 유인 당해너의 시작과 끝은 광고라는 매복에 걸린 당신을 타겟팅하는 광고(이건 맘대로 표현한 )
  3. 세계인의 백과사전 위키 백과 따르면(그래서 이제 제대로)

구매자가 측정 가능한 결과가 있을 때만 지불하는 광고의 형태.

기업들이 어떻게 당신의 데이터를 수집하는지 먼저 알아보도록 하죠.

고객님이 웹페이지에 들어오면 누군지 모를 ( 없는)사용자로서행동 데이터 수집합니다. 데이터는 소중한 고객님 소중한 데이터(개인정보) 입력하지 않아도 수집 가능합니다. 기업들의 웹이나 모바일에 심어져있는 코드나 태그, 픽셀들이 고객님의 PC 스마트폰에 들어있는 쿠키 데이터를 통해 어떤 사용자가 들어왔다라고 읽을 있거든요.

이때 고객님은 한마디 합니다

나는 너희 웹페이지에 관심 있어서 들어온게 아니라 어쩌다 들어온건데 데이터를 가져가는거냐

그럼 기업은 이럽니다.

우리 웹페이지에 맘대로 들어온 너희니까 웹페이지에서 너의 행동은 동의를 얻지 않고 수집할거야

(물론 이런 생각을 갖고 있지는 않습니다.)

어쨌든 웹페이지는 여러분들이 홈페이지/랜딩페이지/웹사이트/모바일앱(이후: 웹사이트) 등에 행차하시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일단 웹페이지 행동 데이터 수집해 갑니다

 

<웹사이트에서 수집하는 고객 행동 데이터 예시: 구글 애널리틱스 기준>

  1. 사용자 : 명이 방문했는지, 어디서, 어떤 기기로
  2. 세션 : 웹페이지의 행위 클릭했는 , 어떤 행위를 했는지(장바구니 담기, 좋아요 누르기 )
  3. 세션 페이지 : 세션 동안 개의 페이지를 봤는지
  4. 평균 세션 시간 : 세션 동안 얼마나 머물렀는지
  5. 영상 조회 시간 : 영상을 얼마나 봤는지
  6. 전환 : 물건을 얼마나 구매했는지(보통 구매, 업계에 따라 리드 수집 정하기 나름)
  7. 이벤트 활성 : 장바구니에 담기, 좋아요 누르기, 페이지 80% 이상 조회 (정하기 나름)

 

< 습득 가능한 데이터: 기업별로 다름>

  1. 어떤 물건을 보고 웹페이지를 나갔는지(이탈)
  2. 어떤 물건을 장바구니에 담고 구매하지 않았는지
  3. 어떤 사이트를 통해 웹페이지에 들어왔는지

 

그런데 구글 계정에 로그인한 상태로 크롬이라는 브라우저를 통해 웹사이트에 들어갔다? 구글 태그가 심어져있는 웹사이트라면 친절하게 우리의 계정과 사용자 데이터를 매칭도 시켜줍니다. (똑똑하지만 무서운 것들)

 

웹사이트에 들어오는 사람들에 대한 정보가 없으니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용자는 없는 사용자(Unknown)’ 나타납니다. 모든 사람들이 구글 계정을 가지고 크롬을 통해 웹사이트에 들어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업은회원 가입 권유합니다. ‘ 없는 사용자(Unknown)’ 있는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넣고 싶기 때문입니다. 기업은 없는 사용자(Unknown)’보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마케팅하기 좋습니다. 그래서 회원 가입을 시키고(SNS 로그인 포함), 회원가입 작성한 데이터를 통해 없는 사용자(Unknown) 있는 사용자(We Know you) 만들죠.

 

 

이것을 광고에 적용시켜보겠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퍼포먼스 마케팅 광고는 페이스북 광고입니다.

(페이스북 광고에는 인스타그램도 함께 포함되어 있습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은 같은 회사라서요.)

하이라이트된 부분 처럼 ‘Sponsored’라는 라벨이 붙은 광고가 보이게 됩니다.(인스타그램도 마찬가지) 광고를 클릭하면 광고가 연결된 페이지 , Labseries.co.kr 넘어가게 되고, 여러분은 페이스북 광고를 통해 들어온 없는 사용자(Unknown)’ 랩시리즈에 잡히게 됩니다.(1) 게다가 랩시리즈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한다(2)? 제품을 둘러본다(3)? 장바구니에 담는다(4)? 구매한다(5)? 그렇다면 여러분은 랩시리즈의 광고에서 벗어나실 없게 됩니다. (광고 신고하면 벗어나짐)

상황에서 랩시리즈에서 분류할 있는 여러분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웹페이지에 들어온 사람
  2. 회원 가입을 사람
  3. 특정 페이지에 진입한 사람
  4. 장바구니에 제품을 담은 사람
  5. 구매한 사람

이런 5개의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게 되고, 퍼포먼스 마케터는 5개의 행동에 대해 서로 다른 마케팅 문구나 이미지(크리에이티브 또는 소재라고 부름) 제작하여 여러분들의 지갑을 열기 위해 노력합니다.

  1. 랩시리즈에는 좋은 상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2. 회원 가입만 하셨어요? 신규 방문자 10% 할인 쿠폰을 드릴게요!
  3. 이벤트 페이지에 들어오셨군요! 이벤트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어요!
  4. 아직도 구매하지 않으셨나요? 할인 이벤트가 끝이납니다.
  5. 이런 제품은 어떠세요? 지금 30% 할인을 하고 있답니다! 마감하니 서두르세요!

라는 식이죠.

아주 간단한 예시이지만 퍼포먼스 마케터는 여러분의 지갑이 열릴 광고를 제작하기 위해 매일 밤낮 고군분투하고 있답니다.

 

펭수,펭짤,펭수짤,털썩

 


 

아주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가 알고 있는 작은 지식을 꺼내봤습니다. 지금까지 배운 저런건데.. ..

어쨌든 본격적으로 채용공고를 통해 퍼포먼스 마케터가 무슨 일을 하는 알아보려고 합니다. 제가 수집한 데이터에 대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데이터 개요

퍼포먼스 마케터

  • 수집 장소 : 원티드(31), 로켓펀치(4), 사람인(5), 구글(2), 인디드(2) 네이버 블로그(6) : 50
  • 수집 목적 : 채용 공고를 통해 퍼포먼스 마케터의 업무 정의를 위함
  • 수집 기간 : 2019 11 21()
  • 수집 업종 : 스타트업, 에이전시(대행사)
  • 수집 내용 : 주요 업무, 자격 요건, 우대 사항
  • 수집 키워드 : 퍼포먼스 마케터, 퍼포먼스 마케팅

 

| 주의 사항

  1. 글은 회사를 판단하기 위함이 아니므로 복지, 혜택, 연봉에 대한 내용은 모두 배재했습니다.
  2. 스타트업/인하우스 위주로 보려했으나사람인에서 에이전시(대행사, 랩사) 들어왔습니다.
    • 원본 데이터를 보면 아주 간단하게 구분할 있습니다.
    • 에이전시(대행사, 랩사) 가고 싶으신 분은 사람인만 보셔도 합니다.
  1. 필수 사항이라고 표기된 내용은자격 요건으로 수집했습니다.
  2. 코딩 없이 수기로 수집했기 때문에 작성자의 땀과 노력, 반복 작업이 있습니다.
    • 머글보스(??) : 열심히 하는
  3. 주관을 담아 분류했기 때문에 여러분의 분류 기준과 다를 있습니다.
    • 기준으로 분류했으니 욕하지 말아달라는 의미
  4. 데이터는 노션(Notion)이라는 프로그램을 수집했습니다.
  5. 수집한 채용 공고 데이터(Notion) 가공 공개할 예정입니다.

 


 

| ‘예상목차

  1.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Intro(지금 )
  2.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1 주요 업무
  3.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2자격 조건
  4.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3 우대 사항
  5. 채용 공고를 통해 바라본 퍼포먼스 마케터 #4 결말
    • 데이터 수집은 완료했으나 글의 분량 조절이 실패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