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저번 시간에 이어 노션 분석 을 위한 oopy에 구글 태그 매니저를 설치하고, 구글 태그 매니저로 할 수 있는 기본 이벤트를 설치해보겠습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를 설치하면 노션 페이지에서는 할 수 없었던 디지털 마케팅의 일부분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 페이지에 들어온 사람들이 어떤 링크를 클릭했는지, 어떤 페이지의 스크롤을 내렸는지, 어떤 페이지를 많이 살펴봤는지 알 수 있는거죠. 구글 태그 매니저를 어떻게 활용하냐에 따라 디지털 마케터로서 무궁무진한 일들을 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몇 명이 제 강의계획서를 받았는지, 제 인스타그램 링크를 클릭했는지 같은 것들을 데이터로 살펴보고 있죠.
아래 사진처럼요. 문의하기, 도서 구매하기가 2개인 것은 테스트를 하느라 이것 저것 변경해봤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데이터는 빨간 사각형 안에 있는 데이터죠.
일단 구글 태그 매니저에 먼저 접속해야 합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 홈페이지인 https://tagmanager.google.com/에 들어와보시죠. 구글 태그 매니저에 들어오신 다음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주세요.
아래와 같은 사진으로 구글 태그 관리자에 접속이 되면 오른쪽 상단 계정 만들기를 눌러주세요. 계정이 이미 있으시면 컨테이너 제작 단계부터 시작하시면 됩니다.
새 계정 추가에 들어가신 다음, 계정 이름, 국가, 컨테이너 이름을 입력해줍니다. 계정 이름은 위 사진에서 sijinii라는 곳에 들어가고, 컨테이너 설정에서 컨테이너 이름은 위 사진에서 sijin.me, sijinii.com blog 를 말하니 비교해보신 후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약관 동의 팝업이 뜨는데, 약관 동의는 한글로 되어 있어도 잘 읽지 않으니 맨 아래에 체크박스만 눌러주고 오른쪽 상단 예를 눌러줍니다.
만들고 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게 됩니다. 아래 코드는 oopy에 설치할 코드이며, 아래 사진에서 오른쪽 상단에 빨간 사각형을 누르면 코드가 다시 나오게 되니 확인을 누르셨더라도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이제 이 코드를 설치하기 위해 oopy로 넘어가보시죠. 위 창은 둘다 복사를 해서 붙여야하기 때문에 탭을 닫지 마세요.
2. oopy에 구글 태그 매니저 설치하기
oopy에 구글 태그 매니저를 설치할 예정이니 우피 관리자인 app.oopy.io의 관리자 페이지에 들어와 줍니다. 관리자 페이지 맨 아래에 HTML 편집의 바로가기를 눌러 들어가줍니다.
다시 구글 태그 매니저에 들어와서 아래 이미지처럼 <head>영역에 들어갈 코드의 복사 버튼을 눌러 복사해줍니다.
그 후 우피의 페이지에 들어와서 <head> 영역에 코드를 아래와 같이 붙여넣어줍니다.
위 사진에서 <body> 영역의 코드도 똑같이 복사한 후 우피의 <body> 영역에 붙여 넣어줍니다.
그 후, <body> 오른쪽 저장 버튼을 눌러주면 끝!
구글 태그 매니저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요? 맞아요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저희집에 정수기를 설치만 했을 뿐, 서울에 있는 물을 가져오는지, 경기도에 있는 물을 가져오는 건지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추가 설정이 필요하단 말이니 넘어가주세요.
3. 구글 태그 매니저로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하기
구글 태그 매니저를 설치한 후 가장 먼저할 것은 구글 태그 매니저로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입니다. 이전 글에서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하는 방법을 알려드렸는데, 사실 그 방법은 구글 애널리틱스 초급 과정에 해당 되는 내용이죠. 이전 글과 같은 방식으로 구글 애널리틱스를 설치하면 기본적인 데이터를 살펴볼 수만 있을 뿐, 활용할 수는 없습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를 통해 우리가 원하는 데이터를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알아볼 수 있도록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정수기에 들어갈 물길을 지정해주는 거죠. 경기도의 물이 들어가냐, 서울의 물이 들어가냐 등. 복잡하신가요? 구글 태그 매니저를 제대로 활용하고 싶으시다면 디지털 마케팅에 대해 배워보시기 바랍니다.
서론이 길어졌네요. 구글 태그 매니저로 구글 애널리틱스를 설치한다면 앞의 글에서 설치했던 방식은 지워주셔야 합니다.
플러그인에 들어가 입력했던 구글 애널리틱스 아이디를 복사한 후 모두 지워준 다음 저장을 눌러주세요. 두개 다 입력되어 있다면 데이터가 중복으로 잡힐 수 있어, 한쪽만 설치해주려 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을 만드는 방법을 모르신다면 이전 글에서 계정 설치 방법을 보고 오셔야 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번호를 복사한 다음 아래 이미지처럼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 정보가 없어야 합니다.
복사한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 ID를 기억하신 다음 구글 태그 매니저로 들어갑니다. 왼쪽 사이드 바에서 태그를 눌러주세요. 그러면 오른쪽 새로 만들기버튼이 나오게 됩니다. 눌러주세요!
왼쪽 상단 태그 이름을 GA UA - ID로 입력해주고, 태그 구성을 클릭하면 오른쪽 패널이 나타납니다. 태그 유형에서 Google 애널리틱스: 유니버설 애널리틱스를 눌러줍니다.
새 변수를 클릭해 줍니다.
변수 이름을 GA UA - ID으로 입력해주고, 추적 ID에 아까 복사한 GA 추적 ID를 입력해줍니다. 오른쪽 상단에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Google 애널리틱스 설정에 위에서 설정한 변수 이름으로 설정한 다음, 아래 트리거 버튼을 눌러줍니다.
트리거는 다른 설정이 되어있지 않아 All Pages를 눌러주고 저장을 눌러줍니다.
아래 빨간 사각형처럼 태그가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한 다음 오른쪽에 제출 버튼을 눌러줍니다.
변경사항 제출이라는 창이 뜨는데 변경 사항 이름을 입력하고, 게시 버튼을 눌러주면 구글 태그 매니저를 이용한 GA 설치가 완료됩니다.
4. 구글 태그 매니저 클릭 이벤트 설치하기
이제는 구글 태그 매니저를 이용할 때 가장 기본 이벤트인 클릭 이벤트를 설치해보겠습니다. 클릭 이벤트는 특정 페이지에서 우리가 원하는 특정 링크를 클릭했을 때 GA에서 데이터를 볼 수 있게 만들어줍니다. 저는 제 인스타그램을 클릭하면 이벤트로 인식하도록 만들어보겠습니다.
제 홈페이지 맨 아래에 보면 Instagram 링크가 있는데, 이 링크를 클릭한 수를 GA에서 데이터로 볼 수 있게 해주는거죠. 먼저 이 링크에 걸어둔 링크를 복사합니다.
걸어둔 링크를 정확하게 복사하기 위해 링크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링크 주소 복사 버튼을 눌러줍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에 돌아와서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설정해주세요. 중요한 것은 비 상호작용 조회를 참으로 설정하는 것과, 구글 애널리틱스의 추적 ID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나머지는 편하게 설정하셔도 됩니다. 그 후 바로 아래 트리거를 눌러줍니다.
아래와 같이 아무것도 없는게 정상이며, 오른쪽 상단 + 버튼을 눌러줍니다.
왼쪽 상단 Click link라고 트리거 이름을 설정해주고, 오른쪽 패널에서 링크만을 누르면 중간 화면이 나옵니다.
일부 링크 클릭을 누른 다음, 맨 앞 칸을 누른 다음 기본 제공 변수 선택을 눌러줍니다.
스크롤을 내려 Click URL을 누릅니다.
중간 패널을 같음으로 선택하고 아까 복사한 인스타그램 링크를 붙여넣고 저장을 누릅니다.
아래와 같은 페이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신 다음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제출을 누르기 전 미리보기 버튼을 누릅니다.
태그 어시스턴트가 나타나는데,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고 Connect 버튼을 누릅니다.
웹사이트를 입력하면 기존에 갖고 있던 웹사이트가 뜨는데 제가 링크를 클릭하고 싶던 링크인 인스타그램을 클릭하면 왼쪽 태그 어시스턴트에서 Tags Fired 라는 공간에 아까 설정한 link Click - Instagram이 뜨면 성공입니다.
아직 제출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Tags Fired에 나타나는 것만 확인하고 태그 어시스턴트는 종료해줍니다.
아까와 같은 방식으로 제출 버튼을 누른 다음 버전을 게시하면 완료됩니다.
버전 이름을 입력하신 다음 게시를 눌러주면 됩니다.
그 후 구글 애널리틱스에 들어오시면 아래와 같이 인스타그램 이벤트가 잡힌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분석 데이터를 보실 때, 구글 애널리틱스 오른쪽 상단에서 오늘 날짜로 찍혀 있는지 기간 설정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따라오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를 제대로 활용해보고 싶으시다면 구글 태그 매니저를 공부해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노션레터 를 구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19년 6월부터 시작된 노션레터는 페이스북 특성 상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션 한국 사용자 모임의 정보와 노하우, 템플릿, 소식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체 데이터베이스는 Notion Korea, Community wiki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 노션 한국 사용자 모임장 전시진 드림
oey로 생성한 블록을 페이지에 임베드하시면 다양한 기능( 댓글, 투표뿐만 아니라 좋아요, A/B, 설문조사 등)을 사용해보실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조이 홈페이지: http://joey.team/ 가이드 페이지: http://guide.joey.team/
1. 구글 캘린더를 ics 파일로 export 합니다. 2. ics 파일을 excel 파일로 변환합니다. https://www.projectwizards.net/en/support/ics2csv-converter 3. 가져올 엑셀 데이터를 셀렉트 하고 클립보드에 복사(Ctrl + C)합니다. 4. 복사한 데이터를 붙여 넣을 노션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5. 복사한 데이터를 노션 페이지에 붙여넣기하면 새로운 표 데이터베이스가 생성 됩니다. 5-1. 클립보드에 들어온 데이터가 노션에 옮겨질 때, 엑셀의 데이터타입도 적용됩니다. (날짜는 날짜로, 숫자는 숫자로 입력됩니다.) 6.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의 보기 방식을 캘린더로 바꿉니다.
이번 시간에는 노션으로 하루의 루틴을 기록할 수 있는 노션 습관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이 템플릿을 만들기 위해서는 함수, 관계형 데이터, 롤업, 보기 방식, 필터, 정렬을 사용할 예정이라, 평소 노션의 고급 기능에 관심 있으셨던 분들이 따라 만들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페이지를 하나 생성한 다음 ‘전체 너비’로 설정해줍니다. 그 후 /표를 눌러 표를 만들고 아래에 있는 속성들을 차례대로 입력해줍니다. 체크박스 속성을 이용했으며, 습관은 여러분들이 정하시는 것이기 때문에 마음에 드는 습관으로 바꾸실 수 있지만, 지금은 저와 똑같은 속성을 추가하셔야 나중에 함수를 입력하실 때 혼란이 없으실 것입니다.
물 2L 마시기, 운동하기, 뉴스레터, 식단 조절, 글쓰기 갯수도 5개로 맞추시는 걸 추천해드리며, 갯수가 5개보다 적을 경우 속성을 단순히 숨기면 되지만, 속성을 더 추가하고 싶을 경우에는 함수의 원리를 잘 파악하셔야 하기 때문에 일단 5개로 실습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다음은 날짜 데이터를 입력해야 하는데, 현재 글을 쓰고 있는 시점이 4월 27일이라서 12월 31일까지 1년 치를 일일이 마우스로 클릭해서 입력해주기에는 너무 귀찮기 때문에 머리를 쓸겁니다.
크롬 브라우저의 인터넷 주소창에 아래와 같이 sheet.new라고 입력하고 새로운 구글 시트를 열어 생성해줍니다. 구글 시트가 불편하신 분들은 엑셀을 열어도 관계없습니다.
어차피 지워질 시트이니 제목은 입력하지 않고 첫번째 칸에 날짜를 입력합니다. 날짜를 입력하는 서식은 월/일/연도순입니다. 2021년 4월 27일의 경우 04/27/2021 처럼 입력하고 셀 채우기를 통해 2021년 12월 31일까지 만들어줍니다.
날짜를 입력했는데 원하는 서식으로 나오지 않는다면 날짜 열 또는 셀을 선택한 다음 아래 사진 처럼 서식 > 숫자 > 더보기 > 날짜 및 시간 형식 더보기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맞춤 날짜 및 시간 형식을 아래와 같이 월/일/연도순으로 바꾸고 적용해줍니다.
오늘 날짜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날짜 서식을 바꾸었다면, 전체 데이터를 선택하고 복사해줍니다.
노션 페이지에 돌아와서 아래 사진과 같이 한 셀만 선택한 다음 붙여넣기 해줍니다. 표에서 한 셀만 선택하려면 셀을 선택하고 ESC를 누르면 한 셀만 선택됩니다.
데이터를 붙여 넣으면 아래 사진과 같이 날짜 열에 1년 치 날짜 데이터가 모두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 데이터의 정렬이 맞지 않다면, 날짜라고 적힌 속성 헤드를 클릭한 다음 오름차순을 눌러 정렬해줍니다.
노가다의 향연이었던 날짜 데이터를 모두 입력하셨습니다. 고생하셨어요.
2. 노션 함수 입력하기
이제 함수를 입력해볼겁니다. 저는 제가 함수를 만들어서 사용하는데, 함수를 만드는 방법까지 알려드리기엔 글로는 어려워서 제가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면 저는
가장 기본적으로 하고 싶은 함수를 먼저 구현하고 살을 붙이는 방식으로 시행착오를 겪어 만들어갑니다.
예를 들어 힘내라는 함수 열에 ‘물 2L 마시기 속성이 체크 완료되어 있으면 “잘했어”라고 입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더 먹어”라고 입력한다라는 기본 IF 함수를 먼저 작성해봅니다.
일단 머릿속에 그려지는 함수를 먼저 써보는거죠 저는 아래와 같이 입력했습니다.
prop("물 2L 마시기") == true ? "잘했어" : "더 먹어"
함수창 맨 오른쪽에 완료 버튼이 활성화되면서 함수가 종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함수가 올바르지 않으면 완료버튼이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함수가 오류가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맨 아래에 보시면 자신의 함수에서 어떤게 오류인지 알려주는데,
영어를 못하시는 분들은 파파고에 돌려보셔도 답변을 볼 수 있으나, 문제는 함수를 못하시는 분들은 번역을 봐도 무슨 말인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저는 무식하게 뚫어져라 쳐다봅니다. 그리고 이것도 바꿔보고 저것도 바꿔보고 하다보면 답이 나오더군요.
저도 다른 분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수를 만들 수 있다 뿐이지 완벽하게 이해하고 만드는게 아니기 때문에 시행착오를 겪으며 생성합니다.
어쨌든 이러한 함수를 이용해 몇개의 체크박스가 완료되냐에 따라 멘트를 다르게 입력하고 싶을 때 함수를 만들어봅니다. 체크박스 자체부터 함수를 만들기에는 길어지기 때문에 힘내!라는 속성 옆에 달성률이라는 함수 속성 하나를 더 생성해주고 아래와 같은 함수를 입력합니다.
그렇게 함수를 제대로 입력하고, 달성률 속성을 숨겨주면 아래와 같은 이미지로 체크박스 갯수에 따라 서로 다른 멘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페이지 이름 부분인 이름속성에 이름이 없으면 캘린더 보기에 나타나지 않으니 이름을 느낀점으로 변경해준 뒤, 그날 루틴을 하며 있었던 일들을 작성해봅니다. 내용이 없다면 일단 내용은 있어야 하므로 스페이스 키를 눌러 띄워쓰기를 한 다음 모두 채워줍니다. 한 칸에만 스페이스 키를 눌러 입력한 다음 ESC를 눌러 셀 하나를 선택하고 복사한 후 느낀점열을 모두 선택(SHIFT + 방향키)한 다음 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3. 관계형 데이터와 롤업 생성하기
이제 오늘 얼마나 달성했는지에 따라 이번달의 평균 달성률을 표시해줄겁니다.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4월에는 50%, 5월에는 14.839%를 완료했다는 걸 볼 수 있죠.
데이터베이스 하나를 만들어준 다음 월별 달성률이라는 이름을 넣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2021년 01월부터 2021년 전체까지 입력해줍니다. 그 후 관계형이라는 속성을 만들고 속성 유형을 관계형으로 바꿔줍니다.
관계형 속성을 만들면 아래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라는 창이 뜰텐데, 처음에 만들었던 습관 관리 리스트를 선택해 연결해줍니다. 제 리스트에 고래가 있는 이유는 같은 이름의 데이터베이스가 2개 있기 때문에 헷갈리지 않기 위해 잠깐 넣어줬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를 연결해주면 아래 이미지처럼 습관 관리 리스트에 월별 달성률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속성이 나옵니다. 빈칸을 클릭해서 날짜에 맞는 관계형 데이터를 연결해줍니다. 월별로 하나씩만 입력하고 ESC를 눌러 셀을 선택한다음 복사, 붙여넣기하면 쉽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월별 달성률이라는 데이터베이스에는 아래 이미지처럼 관계형 속성에 여러 페이지가 연결된 모습이 보일텐데 관계형 속성은 숨김 처리하고, 오른쪽에 달성률(%)이라는 속성을 만들어 롤업속성을 적용해줍니다.
생성한 달성률 속성에서 빈칸을 클릭하면 관계형 데이터를 연결해줄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순서대로 선택하면 월별로 체크박스 갯수에 따른 평균 숫자를 볼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하면 진짜 완료! 이제는 월별로 보기를 추가하고 필터링 작업을 해주면 됩니다.
4. 보기 추가하기
캘린더에 입력할 것이므로 보기 추가를 누르고 4월, 캘린더를 눌러 보기를 생성합니다.
아무런 속성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이름도 없기 때문에 빈칸으로 나타납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속성의 스위치를 켜고, 순서를 지정해줍니다. 속성에서 지정한 순서에 따라 캘린더에서 표시되는 순서도 달라집니다.
4월이라는 보기를 만들었으니, 데이터베이스 필터를 통해 4월 1일 ~ 4월 30일 필터를 걸어줍니다.
남은 5월 ~ 12월까지 보기와 필터를 추가해 마무리 해줍니다.
여기까지 만들고 나면 아래와 같은 습관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생깁니다. 캘린더에서 마우스로 체크박스를 클릭하면 할일을 완료할 수 있고, 오른쪽에서는 월별 달성률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