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저번 시간에 이어 노션 분석 을 위한 oopy에 구글 태그 매니저를 설치하고, 구글 태그 매니저로 할 수 있는 기본 이벤트를 설치해보겠습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를 설치하면 노션 페이지에서는 할 수 없었던 디지털 마케팅의 일부분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 페이지에 들어온 사람들이 어떤 링크를 클릭했는지, 어떤 페이지의 스크롤을 내렸는지, 어떤 페이지를 많이 살펴봤는지 알 수 있는거죠. 구글 태그 매니저를 어떻게 활용하냐에 따라 디지털 마케터로서 무궁무진한 일들을 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몇 명이 제 강의계획서를 받았는지, 제 인스타그램 링크를 클릭했는지 같은 것들을 데이터로 살펴보고 있죠.
아래 사진처럼요. 문의하기, 도서 구매하기가 2개인 것은 테스트를 하느라 이것 저것 변경해봤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데이터는 빨간 사각형 안에 있는 데이터죠.
일단 구글 태그 매니저에 먼저 접속해야 합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 홈페이지인 https://tagmanager.google.com/에 들어와보시죠. 구글 태그 매니저에 들어오신 다음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주세요.
아래와 같은 사진으로 구글 태그 관리자에 접속이 되면 오른쪽 상단 계정 만들기를 눌러주세요. 계정이 이미 있으시면 컨테이너 제작 단계부터 시작하시면 됩니다.
새 계정 추가에 들어가신 다음, 계정 이름, 국가, 컨테이너 이름을 입력해줍니다. 계정 이름은 위 사진에서 sijinii라는 곳에 들어가고, 컨테이너 설정에서 컨테이너 이름은 위 사진에서 sijin.me, sijinii.com blog 를 말하니 비교해보신 후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약관 동의 팝업이 뜨는데, 약관 동의는 한글로 되어 있어도 잘 읽지 않으니 맨 아래에 체크박스만 눌러주고 오른쪽 상단 예를 눌러줍니다.
만들고 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게 됩니다. 아래 코드는 oopy에 설치할 코드이며, 아래 사진에서 오른쪽 상단에 빨간 사각형을 누르면 코드가 다시 나오게 되니 확인을 누르셨더라도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이제 이 코드를 설치하기 위해 oopy로 넘어가보시죠. 위 창은 둘다 복사를 해서 붙여야하기 때문에 탭을 닫지 마세요.
2. oopy에 구글 태그 매니저 설치하기
oopy에 구글 태그 매니저를 설치할 예정이니 우피 관리자인 app.oopy.io의 관리자 페이지에 들어와 줍니다. 관리자 페이지 맨 아래에 HTML 편집의 바로가기를 눌러 들어가줍니다.
다시 구글 태그 매니저에 들어와서 아래 이미지처럼 <head>영역에 들어갈 코드의 복사 버튼을 눌러 복사해줍니다.
그 후 우피의 페이지에 들어와서 <head> 영역에 코드를 아래와 같이 붙여넣어줍니다.
위 사진에서 <body> 영역의 코드도 똑같이 복사한 후 우피의 <body> 영역에 붙여 넣어줍니다.
그 후, <body> 오른쪽 저장 버튼을 눌러주면 끝!
구글 태그 매니저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요? 맞아요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저희집에 정수기를 설치만 했을 뿐, 서울에 있는 물을 가져오는지, 경기도에 있는 물을 가져오는 건지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추가 설정이 필요하단 말이니 넘어가주세요.
3. 구글 태그 매니저로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하기
구글 태그 매니저를 설치한 후 가장 먼저할 것은 구글 태그 매니저로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입니다. 이전 글에서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하는 방법을 알려드렸는데, 사실 그 방법은 구글 애널리틱스 초급 과정에 해당 되는 내용이죠. 이전 글과 같은 방식으로 구글 애널리틱스를 설치하면 기본적인 데이터를 살펴볼 수만 있을 뿐, 활용할 수는 없습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를 통해 우리가 원하는 데이터를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알아볼 수 있도록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정수기에 들어갈 물길을 지정해주는 거죠. 경기도의 물이 들어가냐, 서울의 물이 들어가냐 등. 복잡하신가요? 구글 태그 매니저를 제대로 활용하고 싶으시다면 디지털 마케팅에 대해 배워보시기 바랍니다.
서론이 길어졌네요. 구글 태그 매니저로 구글 애널리틱스를 설치한다면 앞의 글에서 설치했던 방식은 지워주셔야 합니다.
플러그인에 들어가 입력했던 구글 애널리틱스 아이디를 복사한 후 모두 지워준 다음 저장을 눌러주세요. 두개 다 입력되어 있다면 데이터가 중복으로 잡힐 수 있어, 한쪽만 설치해주려 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을 만드는 방법을 모르신다면 이전 글에서 계정 설치 방법을 보고 오셔야 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번호를 복사한 다음 아래 이미지처럼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 정보가 없어야 합니다.
복사한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 ID를 기억하신 다음 구글 태그 매니저로 들어갑니다. 왼쪽 사이드 바에서 태그를 눌러주세요. 그러면 오른쪽 새로 만들기버튼이 나오게 됩니다. 눌러주세요!
왼쪽 상단 태그 이름을 GA UA - ID로 입력해주고, 태그 구성을 클릭하면 오른쪽 패널이 나타납니다. 태그 유형에서 Google 애널리틱스: 유니버설 애널리틱스를 눌러줍니다.
새 변수를 클릭해 줍니다.
변수 이름을 GA UA - ID으로 입력해주고, 추적 ID에 아까 복사한 GA 추적 ID를 입력해줍니다. 오른쪽 상단에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Google 애널리틱스 설정에 위에서 설정한 변수 이름으로 설정한 다음, 아래 트리거 버튼을 눌러줍니다.
트리거는 다른 설정이 되어있지 않아 All Pages를 눌러주고 저장을 눌러줍니다.
아래 빨간 사각형처럼 태그가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한 다음 오른쪽에 제출 버튼을 눌러줍니다.
변경사항 제출이라는 창이 뜨는데 변경 사항 이름을 입력하고, 게시 버튼을 눌러주면 구글 태그 매니저를 이용한 GA 설치가 완료됩니다.
4. 구글 태그 매니저 클릭 이벤트 설치하기
이제는 구글 태그 매니저를 이용할 때 가장 기본 이벤트인 클릭 이벤트를 설치해보겠습니다. 클릭 이벤트는 특정 페이지에서 우리가 원하는 특정 링크를 클릭했을 때 GA에서 데이터를 볼 수 있게 만들어줍니다. 저는 제 인스타그램을 클릭하면 이벤트로 인식하도록 만들어보겠습니다.
제 홈페이지 맨 아래에 보면 Instagram 링크가 있는데, 이 링크를 클릭한 수를 GA에서 데이터로 볼 수 있게 해주는거죠. 먼저 이 링크에 걸어둔 링크를 복사합니다.
걸어둔 링크를 정확하게 복사하기 위해 링크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링크 주소 복사 버튼을 눌러줍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에 돌아와서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설정해주세요. 중요한 것은 비 상호작용 조회를 참으로 설정하는 것과, 구글 애널리틱스의 추적 ID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나머지는 편하게 설정하셔도 됩니다. 그 후 바로 아래 트리거를 눌러줍니다.
아래와 같이 아무것도 없는게 정상이며, 오른쪽 상단 + 버튼을 눌러줍니다.
왼쪽 상단 Click link라고 트리거 이름을 설정해주고, 오른쪽 패널에서 링크만을 누르면 중간 화면이 나옵니다.
일부 링크 클릭을 누른 다음, 맨 앞 칸을 누른 다음 기본 제공 변수 선택을 눌러줍니다.
스크롤을 내려 Click URL을 누릅니다.
중간 패널을 같음으로 선택하고 아까 복사한 인스타그램 링크를 붙여넣고 저장을 누릅니다.
아래와 같은 페이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신 다음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제출을 누르기 전 미리보기 버튼을 누릅니다.
태그 어시스턴트가 나타나는데,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고 Connect 버튼을 누릅니다.
웹사이트를 입력하면 기존에 갖고 있던 웹사이트가 뜨는데 제가 링크를 클릭하고 싶던 링크인 인스타그램을 클릭하면 왼쪽 태그 어시스턴트에서 Tags Fired 라는 공간에 아까 설정한 link Click - Instagram이 뜨면 성공입니다.
아직 제출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Tags Fired에 나타나는 것만 확인하고 태그 어시스턴트는 종료해줍니다.
아까와 같은 방식으로 제출 버튼을 누른 다음 버전을 게시하면 완료됩니다.
버전 이름을 입력하신 다음 게시를 눌러주면 됩니다.
그 후 구글 애널리틱스에 들어오시면 아래와 같이 인스타그램 이벤트가 잡힌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분석 데이터를 보실 때, 구글 애널리틱스 오른쪽 상단에서 오늘 날짜로 찍혀 있는지 기간 설정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따라오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를 제대로 활용해보고 싶으시다면 구글 태그 매니저를 공부해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노션레터 를 구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19년 6월부터 시작된 노션레터는 페이스북 특성 상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션 한국 사용자 모임의 정보와 노하우, 템플릿, 소식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체 데이터베이스는 Notion Korea, Community wiki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 노션 한국 사용자 모임장 전시진 드림
oey로 생성한 블록을 페이지에 임베드하시면 다양한 기능( 댓글, 투표뿐만 아니라 좋아요, A/B, 설문조사 등)을 사용해보실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조이 홈페이지: http://joey.team/ 가이드 페이지: http://guide.joey.team/
1. 구글 캘린더를 ics 파일로 export 합니다. 2. ics 파일을 excel 파일로 변환합니다. https://www.projectwizards.net/en/support/ics2csv-converter 3. 가져올 엑셀 데이터를 셀렉트 하고 클립보드에 복사(Ctrl + C)합니다. 4. 복사한 데이터를 붙여 넣을 노션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5. 복사한 데이터를 노션 페이지에 붙여넣기하면 새로운 표 데이터베이스가 생성 됩니다. 5-1. 클립보드에 들어온 데이터가 노션에 옮겨질 때, 엑셀의 데이터타입도 적용됩니다. (날짜는 날짜로, 숫자는 숫자로 입력됩니다.) 6.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의 보기 방식을 캘린더로 바꿉니다.
Notion 노션, 도깨비, 빈센조, 멜로가 체질 등 드라마 명대사 관리하는 방법 feat.Slid 슬리드
이번 시간에는 제가 좋아하는 드라마 대사들을 노션 데이터베이스 속에 정리해 볼 예정입니다. 저는 한국 드라마를 너무 좋아해서 정말 인상깊었던 드라마 대사들은 따로 정리를 해놓는 편인데요. 예전에는 대사만 따로 정리해두었지만 이번에 조금 더 시각화해보려고 이미지를 함께 넣어보았답니다.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 슬리드(Slid)라는 서비스를 함께 이용했어요. 슬리드는 온라인 수업을 들을 때 화면과 함께 필기할 내용을 캡쳐할 용도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인데, 온라인 수업보다는 드라마를 훨씬 많이 봐서 저는 드라마 대사 캡쳐를 더 많이 활용하더라고요. 그래서 노션 X 슬리드를 이용해 드라마 명대사를 정리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위와 같은 페이지를 만들어 볼 예정입니다. 어렵지 않아요. 뭔가 화려해보이는 건 외부에서 이미지를 많이 가져왔기 때문인데, 그 이미지들도 다 나무위키에서 가져왔기 때문에 Ctrl + C, V 만 할 줄 아시면 됩니다.
빈 페이지를 만들고, /표 를 입력하여 표를 만들어줍니다. 속성을 추가하며 제목 속성에는 드라마명을 넣어주고 그외에 방송기간, 배우, 각본, 기획/제작 등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 속성을 넣어줍니다. 첫 페이지인 드라마 명대사 모음은 표만 들어가기 때문에 페이지 오른쪽 상단 …을 누르고 전체 너비를 눌러줍니다.
배우 속성은 다음 스텝에서 관계형 데이터를 넣을 예정이기 때문에 일단 텍스트 속성으로 두고 다음 스텝으로 넘어갑니다.
이제는 바로 아래에 배우 표를 만들어서 관계형 데이터를 연결해줄겁니다. 같은 배우가 여러 드라마에 출연한 경우 어떤 배우가 어떤 드라마에 출연했는지 한 눈에 볼 수 있게 됩니다.
드라마 표 바로 아래에 배우 표를 만들고 드라마 표의 배우 속성을 클릭하고 관계형 속성을 눌러줍니다.
관계형 속성을 생성하면 아래와 같이 노션 데이터베이스 를 선택하라고 나타납니다. 바로 아래에 만들었던 배우 노션 데이터베이스 를 클릭해 연결해줍니다.
2. 드라마 정보 수집하기
이제 드라마의 데이터를 표에 입력해줄 차례입니다. 첫 드라마는 제가 제일 좋아하는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를 넣어볼 겁니다. 나무위키 페이지에 들어오면 드라마 리스트에 입력할 내용들이 아래처럼 모두 나와 있습니다.
저는 방송기간, 제작사, 각본, 출연 정보가 필요해서 노션 데이터베이스 에 만들어 넣었고, 다른 정보가 더 필요하시다면 원하는 정보를 채워넣으시면 됩니다.
배우는 관계형 데이터기 때문에 일단 비워두고 나머지 정보들만 채워넣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배우 리스트에 출연 배우를 입력합니다.
배우 표에서 배우 이름 옆 드라마 속성의 빈칸을 클릭하면 드라마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데이터인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가 나타나고, 선택해줍니다.
블록을 클릭하고 ESC를 누르면 셀 한 칸이 파란색으로 선택되는데, 이때 Ctrl + C를 누르면 셀의 내용이 복사됩니다.
그리고 Shift + ↓ 를 눌러 다른 셀들을 선택한 후 붙여 넣어줍니다. 그러면 셀에 일일이 관계형 데이터를 선택하지 않고도 연결시켜줄 수 있습니다.
각 셀마다 관계형 데이터를 연결해주었다면, 드라마 DB에서 배우와 드라마가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새로 추가되는 드라마와 배우는 이런 방식으로 똑같이 모두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3. 이미지 넣어주기
이제는 이미지들을 넣어줄 예정입니다. 이미지를 다운받지 않고 인터넷에 있는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제목에 마우스를 갖다 대면 나타나는 커버 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구글 이미지 사이트나 나무위키 등 원하는 곳에서 이미지를 찾은 다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이미지 주소 복사 버튼을 눌러줍니다.
커버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나타나는 커버 변경 버튼을 누르고 링크 를 누릅니다. 그 후 복사한 이미지 주소를 붙여 넣고 제출 버튼을 누르면 이미지가 노션 페이지 커버에 들어갑니다.
커버의 위치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다시 마우스를 커버에 갖다 대고 위치 변경 버튼을 눌러 위치를 조정해줍니다.
나무위키에서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를 검색하고 아래로 내려오면 도깨비 로고가 있습니다. 로고 이미지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이미지 주소 복사버튼을 눌러줍니다.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 페이지를 열어 아이콘을 클릭하고, 링크 -> 이미지 주소를 붙여넣고 제출 버튼을 눌러 아이콘을 변경해줍니다.
아이콘과 커버 이미지를 다운받지 않고 변경하는 방법을 배우셨으니, 이제는 주연 배우의 이미지를 바꿔봅시다. 나무위키에 있는 이미지만 넣어도 충분히 예쁘게 나옵니다.
아이콘은 크게 볼 수도 없고 그냥 형태만 보이기 때문에 사실 아무거나 넣어도 잘 모릅니다. 그냥 저의 기분이 좋을 뿐이죠.
4. 슬리드 설치하기
드라마와 배우의 이미지까지 채웠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드라마 장면을 캡쳐할 차례입니다. 드라마 장면을 캡쳐할 때는 캡쳐 도구를 쓰셔도 되는데, 저는 모노스냅이라는 도구로 단축키를 몇개 설정해 편리하게 캡쳐할 수 있으나, 이번에는 슬리드를 이용할 예정이므로 아래 사이트에 들어와 슬리드(Slid)를 설치해봅시다.
저는 이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Chrome에서 삭제라고 나오지만, 설치가 아직 되지 않은 여러분은 Chrome에서 추가라고 나타날 겁니다. 버튼을 눌러주면 크롬의 오른쪽 상단에 아이콘이 나타나며 설치가 완료됩니다.
5. 슬리드 이용해서 드라마 이미지 및 대사 저장하기
슬리드를 설치하셨다면 이제 여러분이 원하는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 들어가면 됩니다. 저는 티빙, 웨이브, 유튜브, 넷플릭스를 모두 유료계정으로 보고 있는데, 넷플릭스는 슬리드가 적용되지 않는걸 확인했습니다. 따라서 넷플릭스를 제외한 아무곳이나 접속하면 됩니다. 저는 제가 제일 좋아하는 티빙에 들어가서 도깨비를 검색해보겠습니다.
그 후 아까 설치한 슬리드를 오픈해 줄 겁니다.확장 프로그램을 여는 버튼을 클릭하고 슬리드를 클릭해줍니다.
슬리드를 선택하면 동영상 선택이란 버튼이 나타납니다.
이걸 클릭하면 세상에서 제일 작은 카페 카누를 타먹는 공유의 화면이 하얗게 변하면서 파란색 재생 버튼이 생깁니다. 그걸 클릭해주시면 슬리드가 실행됩니다.
비회원으로 이용중이라며 로그인, 닫기 버튼이 나오는데, 우리는 대사와 이미지를 슬리드에 저장하는게 아니라 노션에 저장하기 때문에 최대 문서 3개는 크게 의미 없습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혹시 모를 사태에 대비해 기록을 남겨둘 수 있습니다.
슬리드까지 설치했으니 이제 슬리드를 이용해 동영상을 보시면서 대사를 적으시면 됩니다. 슬리드에는 단축키를 제공해주는데 정말 정말 편리합니다. 딱 4개만 알면됩니다. Alt + J, K, L, / 4개만 알면 슬리드를 이용하는데는 전혀 문제 없어요.
드라마를 보다가 Alt + /를 누르면 캡쳐 장면이 영상 오른쪽에 들어갑니다. 그 후 대사를 타이핑하기만 하면 되죠. 이렇게 드라마 장면과 대사를 쭉 적어 내려갑니다.
6. 노션 데이터베이스 템플릿으로 정리하기
드라마 한 편을 다보고 나면 이제 다시 노션을 켭니다. (공부를 이렇게 했으면 딴 일 하고 있을텐데..)
노션 페이지를 열기 전에 데이터베이스 템플릿을 만들어줄겁니다. 데이터베이스 템플릿은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버튼 한번 누르면 미리 설정해둔 양식을 불러오는 기능입니다. 1화부터 20화까지 태그를 일일이 달기 귀찮으니 미리 설정해두고 불러와서 슬리드에 있는 내용을 붙여넣기 가능하게만 해줄거예요. 일단 만들어봅시다.
노션의 데이터베이스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새로 만들기라고 나타나는데 새로 만들기 옆에 V 화살표를 눌러줍니다. 그리고 새 템플릿을 눌러줍니다.
템플릿을 제작할 수 있는 페이지가 열리면 페이지 이름을 입력하고 /표를 입력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이름과 속성을 지정해줍니다. 데이터베이스를 넓게 쓸 예정이기 때문에 전체 너비도 지정해줍니다.
회차에 1화부터 20화까지 모두 써줍니다. 이렇게 미리 한 번 써주면 매번 입력할 때마다 몇 화 몇화를 쓸 필요가 없어서 편리합니다. 회차 옆에는 이미지를 넣어줄거기 때문에 이미지 속성을 넣어줍니다.
여기서 이미지는 위 처럼 속성을 만들어서 넣어도 되고, 본문 콘텐츠에 넣어도 됩니다. 다만 속성을 만들어서 넣으면 갤러리 보기로 만들었을 때 대사 앞에 아이콘 없이 깔끔하게 만들어지는 대신에, 슬리드에서 이미지를 붙여넣을 때 몇번의 클릭이 더 필요하고, 본문에 이미지를 넣으면 복사 붙여넣기는 편한 대신에, 갤러리 보기로 볼 때 다른 아이콘이 생겨 불편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템플릿을 만들고 밖으로 나와 도깨비 페이지에 들어와보면 아래에 만들었던 데이터베이스 템플릿을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템플릿은 페이지 내용에 아무것도 없어야 만들 수 있으니, 빈칸이라도 만들어져있다면 블록을 지워보세요. 드라마 리스트라는 버튼을 누르면 미리 지정해둔 데이터베이스 템플릿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제 슬리드에 적어둔 대사와 이미지들을 노션에 옮기시면 됩니다. 대사는 복사해서 명대사 속성에 붙여 넣으면 됩니다. 이미지는 위에 아이콘이나 커버에 넣은 것처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이미지 주소 복사를 누른 다음
이미지 속성에 빈칸을 클릭하고 링크 임베드 버튼을 눌러주면 이미지가 들어갑니다. 그렇게 모든 대사와 이미지, 회차를 설정해주고 나면
아래와 같은 형태가 만들어집니다. 이제 갤러리 보기만 설정해주면 됩니다. 데이터베이스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나타나는 보기 추가 버튼을 누르고 갤러리 보기를 추가해줍니다.
처음에 갤러리 보기를 추가하면 이미지가 보이지 않을텐데, 데이터베이스에 마우스를 대면 나타나는 ...을 눌러 속성에 들어가줍니다.
속성에서 카드 미리보기를 누르고 제 이미지가 들어 있는 속성을 선택해줍니다. 이미지 속성에 넣으셨으면 이미지 속성에, 페이지 콘텐츠에 넣었으면 페이지 콘텐츠를 선택해줍니다.
이렇게 모두 세팅하고 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완성됩니다. 이제 자유롭게 드라마 대사를 수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