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SEO

Browsing

블로그 최적화 점수

워드프레스 블로그의 SEO 최적화 점수를 측정해주는 확장 프로그램을 찾았다. 

SEO Analysis & Website Review by WooRank

내 블로그의 SEO 최적화 점수를 올리고 싶다. 왜냐하면 프로그램의 측정 기준 상 잘된 블로그는 아니라고 판단해서 그런지 점수의 동그라미가 빨간색이기 때문이다. 다른 블로그들을 몇개 둘러보니 점수가 높은 블로그들은 초록색 동그라미로 그려져 있었다. 다른 블로그 몇개를 더 둘러보니 49점 이하는 빨간색, 50~69점은 노란색, 70점 이상은 초록색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나의 목표는 초록색이다. 초록색을 목표로 블로그 최적화를 진행해보자.

 

다른 블로그들의 점수를 알아보기 전에 블로그의 공정성을 맞추기 위해 나와 같은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찾아보았다. 언뜻보기에는 어떤 블로그가 워드프레스 블로그인지 알 수가 없다. 일단 블로그를 선택하는 기준은 내가 떠오르는 블로그지만 해당 블로그가 워드프레스로 만들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나만의 방법을 사용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의 관리자모드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블로그 주소 끝에 “wp-admin”을 붙이면 된다. 그 말은,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만들었다면 블로그 주소 끝에 “wp-admin”를 붙이면 워드프레스로 로그인을 하라는 아래와 같은 사진이 나타나게 된다.

slack blog seo

 

커뮤니케이션 툴로 유명한 슬랙의 블로그는 워드프레스 블로그로 만들었다는 뜻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떠오르는 다른 몇개의 블로그들을 방문하여 워드프레스로 만들어진 블로그들을 추려보았다. 워드프레스로 만들어지지 않은 사이트라면 사이트 주소 끝에 “wp-admin”을 붙여도 아무런 반응이 일어나지 않거나 오류 페이지가 나타난다. yoast blog 같은 경우에는 my yoast 로 들어가지는데, 이런 경우에는 yoast에서 회원가입을 워드프레스로 받고 각 계정마다 공간을 만들어주었다고 추정된다. 추정의 근거는 워드프레스의 사이트 UI와 너무 흡사하기 때문이다.

 

yoast blog wordpress
위 : yoast blog, 아래 : wordpress

처음 봤을 때는 워드프레스와 많이 닮았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비교해보니까 조금 다른 것 같다. 어쨌든 워드프레스 블로그라면 SlackHQ 의 블로그처럼 나타날 것이고 아니라면 아래처럼 에러가 나거나 아무런 반응이 없을 것이다.

wordpress, fastfive, wp-admin, blog, SEO, 워드프레스, 패스트파이브

 


 

어떤 블로그들이 워드프레스로 만들었고, SEO에는 몇점을 받았는지 살펴도보록 하자.

 

1.Slack

blog slack seo  블로그 최적화

커뮤니케이션 툴을 서비스하고 있는 슬랙(Slack)다. 서양권에서 3세대 메신저 서비스로 공룡 기업으로 불리고 있다. 현재 가치가 19조 7천 억이라고 한다. 슬랙의 블로그에 들어가봤다. 깔끔하게 그려진 일러스트들과 디자인들이 마주하고 있다. 사이트가 로딩되는 속도도 상당히 빠르다. 

사이트 속도는 어떻게 측정하지? – 나중에 사이트 속도 측정에 관한 글을 써야겠다.

 

2. 생각노트

블로그 최적화 seo blog 생각노트

개인적으로 콘텐츠에 대해 롤모델이라고 생각하는 생각노트님의 블로그이다. 슬랙의 블로그도 72점을 받았는데 무려 86점을 받으셨다. 이미 수백 개의 양질의 콘텐츠가 들어가있고, 꾸준히 오랫동안 관리해온 결과라고 생각한다. 존경합니다 생각노트님

 

3. Yoast

yoast, seo, blog, wordpress, 워드프레스

워드프레스 블로그 SEO 중에서 가장 유명한 Yoast 다. SEO를 위해서는 Yoast가 꼭 필요하다. 암. 나도 많이 배우고 있다. SEO 전문 회사인 만큼 블로그 점수가 90점이나 된다. 워드프레스에서 SEO를 하려면 Yoast 플러그인이 필수라고 할 만큼 유명한 회사의 블로그인데 점수가 90점이라면 아마 최상위 점수가 아닐까. SEO 점수를 최적화시켰을 때 현실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랄까? 그런데 생각노트 블로그의 점수가 86점이라는 것은.. 상대적으로 아주 높은 점수라고 한다.

 

4. ㅍㅍㅅㅅ

ppss, ㅍㅍㅅㅅ, blog, seo

국내 미디어 스타트업 ㅍㅍㅅㅅ. 다양한 글들을 큐레이션 해주고 있다. 해당 사이트에는 73점이라는 점수를 받았다. 다양한 콘텐츠를 가져오는 만큼 다양한 주제로 검색해도 1페이지에 검색이 잘되는 사이트다.

 

5.THE EDIT

theedit, 디에디트, 매거진, blog

마지막은 내가 정말 정말 사랑하는 디에디트. 나를 서울로 올라올 수 있게 용기를 준 디에디트다. 디에디트 사이트는 홈페이지처럼 생겼다. 혹시나 해서 확인해봤는데 워드프레스 로그인 화면이 뜬다. 워드프레스에 이런 테마가 있다는 것도 신기하지만 이런 사이트를 만든 것도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정말 특이한 사이트란 것은 들어가보면 안다. 디에디트는 홈페이지 말고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카카오톡 등 멀티 채널에 콘텐츠를 발산하고 있기 때문에 SEO에는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나보다. 하지만 콘텐츠는 정말 너무나도 좋다.

 


 

5개 블로그의 SEO 최적화 점수를 알아보았다. 블로그로서 운영을 하고 있는 사이트는 모두 초록색 원을 가진걸 보니 일단 나도 최소 70점을 넘겨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2020년 2월 목표는 초록색 원을 가지는 걸로! 

확장 프로그램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어떤 부분을 어떻게 수정해야 하는 지도 나온다.

 

블로그 최적화 점수 타이틀 태그

 

처음 블로그를 만들었을 때부터 알고 있었다. 조금 따라해보다가 갑자기 개발 용어들이 나와서 파랑새도 지쳤는지 번역을 이상하게 해주기 시작해서 멈추었더랬다. 이번 달에는 집중해서 블로그 수정을 진행해봐야겠다. 

 

잠이 와서 도저히 못쓰겠다. 

 

끝[끗]

 

구글 애드센스 사용법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사용
워드프레스에서 구글 애드센스 설정하는 방법

Today I Learn 2019년 11월 15일(금) 오늘 배운 내용을 공유합니다.

이 페이지는 구글 SEO에 신경쓰지 않습니다.

색인이 생성되었으나 사이트맵에 제출되지 않았습니다.

  1. 위 메시지가 구글 서치 콘솔에서 떠돌고 있고, 생각보다 구글에서 검색이 안됨을 발견
  2. 구글에서 site:”muggleboss.net“를 검색했을 때 실제로 URL이 나오는 수가 적음을 발견
  3. 구글 서치 콘솔에서 사이트맵 제출이 되지 않았음을 인지
  4. 문제 해결을 위해 구글에서 아래 키워드들을 검색
    • 색인이 생성되었으나 사이트맵에 제출되지 않았습니다.
    • 워드프레스 색인이 생성되었으나 사이트맵에 제출되지 않았습니다.
    • 구글 서치 콘솔 색인이 생성되었으나 사이트맵에 제출되지 않았습니다.
    •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맵
  5. 원하는 검색 결과가 나오지 않음
  6. 네이버에서 검색 : 워드프레스 색인이 생성되었으나 사이트맵에 제출되지 않았습니다.
  7. 네이버 지식인에서 비슷한 사례를 발견과 동시에 워드프레스 네이버 카페 발견
  8. 네이버 카페에 가입한 후 ‘사이트맵’이라는 키워드로 검색
  9. Yoast SEO만을 통해 사이트맵을 제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Jetpack도 가능하다는 걸 알게 됨
  10. 위 글에서 Yoast SEO와 Jetpack을 함께 사이트맵 제출을 하면 안된다는 정보를 습득
  11. Yoast SEO를 OFF하고 Jetpack의 사이트맵 ON
  12. 구글 서치 콘솔에 제출
  13. Yoast SEO는 발견된 URL 수가 0이었지만 Jetpack을 통해 제출한 사이트맵에서는 144개, 5개 확인
  14. 해당 이슈 완료

 

메모장으로 PPT 슬라이드 목차 쉽게 만들기

  1. 베어유의 유원일 대표님을 통해 참고 링크 를 습득
  2. 메모장에 원하는 슬라이드 내용을 입력
    1. Enter : 슬라이드 나누기
    2. Tab : 내용 생성하기
  3. 메모장을 유니코드로 저장
  4. 파워포인트에서 메뉴탭에 메모장을 가져오기
  5. Enter한 부분마다 슬라이드가 생성

 

구글 SEO 용어

  1. 크롤링(Crawling) : 구글은 웹 크롤러 ‘스파이더’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몇 개의 웹페이지 속의 링크들을 따라가 그 웹페이지들의 데이터를 가져온다. (링크 속에 링크 속에 링크) 이렇게 링크를 가져오는 작업을 크롤링이라고 한다.
  2. 인덱싱(Indexing) : 가져온 웹페이지들을 웹페이지에 포함된 모든 단어들에 맞게 분류하는 작업
  3.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 : Search Engine Result Page) 사용자에게 유용한 페이지들을 뽑아내 순위를 매겨 보여준 결과
  4. 벡링크(Backlink) : 다른 페이지에서 내 페이지의 링크를 걸어주는 것. 내 페이지로 유입되는 링크를 백링크라고 한다. 백링크의 갯수가 많아질 수록 내 페이지의 신뢰도가 상승한다.
  5. http/https : 보안 프로토콜, https 는 보안 프로토콜이 적용된 도메인, 보안 프로토콜이 적용되면 높은 점수가 부여된다.
  6. Robots.txt(로봇 배제표준 파일) : 웹사이트에 대한 검색 엔진 로봇들의 접근을 조절, 제어해주는 역할. Robots.txt 파일의 코드에 따라 해당 검색 엔진의 접근을 차단할수도, 해제할 수도 있다.
  7. sitemap.xml(사이트맵) : 크롤링을 도와주는 웹페이지 지도와 같은 것. 크롤링 과정에서 쉽게 발견되지 않는 페이지도 크롤링 및 색인을 가능하게 해줌
  8. Title(타이틀) : 웹페이지의 이름 (200-569pixel)
  9. Meta Description(메타 디스크립션) : 웹페이지를 설명하는 글.
    • 추가 : 웹페이지를 잘 나타내는 내용이어야 하며, 검색 시 글의 내용이 잘려서 보이면 안된다. (70~160byte)
  10. 소셜 메타 태그 : 소셜 미디어에서 들어오는 트래픽은 얼마인지 구글에서 트래킹한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들어오는 트래픽도 중요하기 때문에 부지런히 SNS로 공유해야 함
  11. 이미지 태그 최적화 : 이미지가 중요한 글이라면 이미지에 Alt 태그를 설정해둬야 함 이미지 만으로 높은 검색 순위를 차지할 수 있음
  12. 모바일 최적화 : 모바일 퍼스트 전략을 추구, 모바일 최적화가 필수
  13. 대표 주소 설정 : 내 웹페이지로 들어오는 주소가 여러개가 있다면 대표 주소를 설정하고 리다이렉트 시키는 것이 좋다.
  14. 키워드 및 콘텐츠 최적화 : 정보가 풍부하게 담긴 콘텐츠를 좋아합니다. 나의 웹사이트의 특정 분야 키워드를 찾은 후 콘텐츠 작성

 

상위 랭크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

  1. 링크 : 신뢰도 높은 사이트에서 백링크를 얻으면 신뢰도 점수가 올라간다.
  2. 콘텐츠 : 한가지 주제에 관해서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가 있는 사이트를 좋아함
    • 콘텐츠의 길이
    • 사용자가 머물다 간 시간
  3. 랭크브레인 : 구글의 머신러닝 인공지능 시스템, 단어나 구문이 가질 수 있는 유사한 의미를 추측하고 결과를 필터링해 처음 보는 검색 쿼리를 효과적으로 처리(이건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